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진주정씨 우복종가 > 안자전

안자전(顔子全)

조선 후기의 학자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 1738-1816)가 공자(孔子)의 제자인 안회(顔回, B.C.521-490)에 관한 경적(經籍)을 수집하여 편찬한 『안자전(顔子全)』을 새긴 책판이다. 전존판은 본문을 새긴 10판이 남아 있다.
안자전(顔子全)

1  /  10

  • 저자
    정종로(鄭宗魯)(저)
    판심제
    顔子全
  • 기탁처
    진주정씨 우복종가
    서문
  • 발문
    판각시기
  • 완본수
    13
    현존수
    10
  • 결락수
    3
인물정보
정종로(鄭宗魯) [영조 14년(1738) - 순조 16년(1816)]

조선 후기의 학자 정종로(鄭宗魯)는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자는 사앙(士仰), 호는 입재(立齋) 또는 무적옹(無適翁)이다.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6대손이다.

그는 벼슬길을 마다하고 학문과 강학에만 전념하다가, 여러 번 관직에 천거되었다. 정조 13년(1789) 52세 때에 광릉참봉(光陵參奉)에 제수되었다. 이 때 정조가 재상(宰相) 채제공(蔡濟恭)에게 그의 인품을 묻자, 채제공은 그를 “경학과 문장이 융성하여 영남 제일의 인물이다.”하고 극찬하였다.

59세 때인 정조 20년(1796)에 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 정조 21년(1797)에 강령현감(康翎縣監)과 함창현감(咸昌縣監)에 제수되었다. 이후 벼슬을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간 뒤에도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과 장령(掌令) 등의 직함이 내려오기도 하였다.

사후에 우산서원(愚山書院)에 배향되었다.
문집정보
구성 :
서문(序文)에서는 안회의 세계(世系)와 생애를 소개하고‚ 일찍 죽어서 행적과 학업을 수수(授受)한 과정이 알려지지 않아 본서를 지었다는 동기를 서술했다. 본문은 『논어(論語)』‚ 『맹자(孟子)』 등의 경전에서 가려 뽑은 관련 사항과 정자(程子), 주자(朱子) 등의 주해를 실었다.
간역 :
『안자전(顔子全)』은 조선 후기의 학자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가 중국 춘추시대의 유학자로 공자(孔子)의 제자인 안회(顔回)에 관한 경적(經籍)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이다.
목판정보
결락정보 :
『안자전(顔子全)』의 책판은 전체 13판 중 제1/2장, 제13/14장, 제19/20장 등 3판이 결락되어 있어, 전존판은 10판이 남아 있다.
형태적특징 :
『안자전(顔子全)』의 책판은 10장의 판이 남아 있다. 판목의 상태는 대체로 양호하여, 판을 새길 당시에 책판의 크기나 마구리의 재단 등 모든 면에서 꼼꼼하게 정성들여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책판의 기본적인 체제와 형식을 살펴보면, 본문을 새긴 판의 양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의 광곽(匡郭) 안에 계선(界線)을 새겼고, 글자 배치는 10행 20자의 해서체(楷書體)로 일정하게 판각하였다.

판심의 어미(魚尾)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로 균일하며, 판심의 제목은 ‘안자전(顔子全)’으로 새겼다.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0×48-52cm 내외로 전체적으로 비교적 일정한 편이다. 반곽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19cm×16cm 내외로 거의 일정하다.

반면, 판목의 두께는 주로 1-2cm 내외로 편차가 보이는 판도 있다. 책판의 무게는 1.5-2.0kg이다.

그리고 각 책판별 마구리의 옆면에는 서명(書名)과 권차(卷次) 장차(張次) 순으로 묵서(墨書)되어 있으며, 이 밖에 각수 이름이나 보각(補刻)에 대한 기록은 표기되어 있지 않다.

대부분 한 판의 전후 면이 장차 순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제3장과 제25장은 한 판에 새겨져 있다.

한편, 일부 책판의 경우 마구리의 한 쪽이 훼손되어 있거나, 본문의 판면이 조금씩 가로로 균열된 판도 있다.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면의 결합 방식은 본문을 새긴 판면이 마구리의 좌우측 절반까지만 파내어 끼워 넣은 후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본문판과 마구리의 고정 방식은 좌우측 마구리의 가운데 부분에 두 개의 쇠못을 박아 고정하였다.

본문을 새긴 판면과 마구리의 결합 형태는 판면을 직사각형으로 재단하여, 마구리의 좌우측 결합 부분이 마름모꼴로 줄어드는 현상 없이 거의 직사각형을 유지한 채로 책판을 제작하였다.
특이사항 :
전존판 가운데 제3장이 들어 있는 책판이 2판 있는데, 한 판은 3장과 뒷면이 공판(空板)으로 되어 있고, 다른 한 판은 제3장과 제25장이 함께 있다.

이 가운데 전자인 제3장만 있는 판은 판면의 균열이 심한 것으로 판단컨대, 제25장의 후면에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1,2)(3,4)(5,6)(7,8)(9,10)(11,12)(15,16)(17,18)(21,22)(23,24)(3,25) 10
(1,2)(3,4)(5,6)(7,8)(9,10)(11,12)(15,16)(17,18)(21,22)(23,24)(3,25) 10
(1,2)(3,4)(5,6)(7,8)(9,10)(11,12)(15,16)(17,18)(21,22)(23,24)(3,25) 10
(1,2)(3,4)(5,6)(7,8)(9,10)(11,12)(15,16)(17,18)(21,22)(23,24)(3,25) 10
(1,2)(3,4)(5,6)(7,8)(9,10)(11,12)(15,16)(17,18)(21,22)(23,24)(3,25) 10
(1,2)(3,4)(5,6)(7,8)(9,10)(11,12)(15,16)(17,18)(21,22)(23,24)(3,25) 10
(1,2)(3,4)(5,6)(7,8)(9,10)(11,12)(15,16)(17,18)(21,22)(23,24)(3,25) 10
서지/해제 작성자 : 임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