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탐진안씨 문정공파종중 > 고은선생문집

고은선생문집(皐隱先生文集)

조선 초기의 문신인 고은(皐隱) 안지(安止, 1377∼1464)의 시문집을 새긴 책판이다. 책판은 본문, 서문(序文)과 세계도(世系圖) 등을 새긴 4권 2책 분량으로 전체 52판 완질이 남아 있다.
고은선생문집(皐隱先生文集)

1  /  52

  • 저자
    고은(皐隱)(저)
    판심제
    皐隱先生文集
  • 기탁처
    탐진안씨 문정공파종중
    서문
    張升澤
  • 발문
    李中久
    판각시기
    1772년
  • 완본수
    52
    현존수
    52
  • 결락수
    0
인물정보
• 고은 [皐隱, 고려 우왕 3년(1377)~세조 10년(1464)]

저자 안지(安止)는 조선 전기에 활동한 문신으로 본관은 탐진(耽津, 지금의 전라남도 강진) 사람이다. 그의 자(字)는 자행(子行)이고, 호는 고은(皐隱)이다. 아버지는 찬성 사종(士宗)이다.
1414년 친시문과(親試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여 성균관박사가 되었고, 1416년 다시 문과중시(文科重試)에 을과(乙科) 2등으로 급제하여 여러 벼슬생활을 지냈다. 특히 세종 때에는 공조참판으로 있으면서 권제(權踶), 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지었으며, 다음해 호조참판으로 사신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공조판서에 이르렀으나 사필(史筆)의 일로 고신(告身)을 환수받고 강진으로 귀양 가서 10년 동안 귀양살이를 하였다.
귀양이 풀린 후 지금의 김제 석교 일대에서 은거하며 지내다가 1455년 세조가 즉위한 뒤 지중추원사에 복관이 되었다. 그는 해서(楷書)에 일가견이 있어 일찍이 세종(世宗)의 명으로 태종(太宗)을 위한 『금자법화경(金字法華經)』을 베꼈다. 사후 경산의 조곡서원(早谷書院)에 제향되었고,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문집정보
구성 :
『고은선생문집(皐隱先生文集)』 제1책의 맨 앞에는 1772년에 장승택(張升澤)이 지은 서문이 있으며, 이어 세계도에는 탐진안씨의 1세 자미(子美)로부터 12세인 안지(安止)를 비롯한 20세까지를 직계 위주로 수록하였다.
제1책의 권1에는 목록과 시(詩), 권2는 소(疏),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箋)」 등 전(箋) 2편, 「신간산법서(新刊算法序)」,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 등 서(序) 2편, 「매헌선생문집발(梅軒先生文集跋)」, 「춘정변선생문집발(春亭卞先生文集跋)」 등 발(跋) 2편, 묘지명(墓地銘), 갈문(碣文) 등이 수록되었다. 이 중 「용비어천가전」은 『용비어천가』의 초안을 올리면서 쓴 것이다. 발(跋) 가운데 「권매헌선생집발(權梅軒先生集跋)」은 스승인 권우(權遇)의 문집을 간행하면서 그 출간 경위와 스승의 행적 및 교육하는 방법 등을 설명한 것이다. 또 변계량(卞季良)의 문집을 간행할 때 그 소감을 밝힌 「변춘정계량집발(卞春亭季良集跋)」과 병조판서 정연(鄭淵)의 묘지명, 예조판서 이이기(李二錡)의 묘갈문 등이 있다.
제2책의 권3은 「정원일기(政院日記)」 등 지(誌) 2편, 권4는 부록으로 습유(拾遺), 상향축문(常享祝文), 행장, 묘갈명, 묘지명, 신도비, 유사 등이 수록되었다. 이어 발문으로 이중구(李中久)와 후손 안만곤(安晩坤), 안병희(安炳喜)의 발문이 있다.
간역 :
『고은선생문집(皐隱先生文集)』의 간행은 1772년에 후손 안병희(安炳喜) 등의 주도하에 옥산(玉山) 장승택(張升澤)의 서문과 여강(驪江) 이중구(李中久)의 발문을 받아 4권 2책의 목판본을 간행하였으며, 140여년이 지난 1912년에 방후손(傍後孫) 안민곤(安晩坤)이 3권 1책의 목활자본으로 중간하였다.
목판정보
결락정보 :
책판은 4권 분량의 본문을 새긴 전체 52판이 완질로 남아 있다.
형태적특징 :
책판의 보존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며, 사주쌍변(四周雙邊)의 광곽(匡郭) 안에 서문(序文)은 행서(行書)로 새겼고, 목록과 본문은 해서(楷書)로 새겼다. 문집판은 권1에서 권4에 이르기까지 모든 내용이 누락 없이 52판 완질로 남아 있다.
본문의 판각 체제는 서문과 발문은 대자(大字)로 새겼고, 서발(序跋)의 기본틀은 5행에 한 행에는 8자에서 9자까지 판각하였다. 본문은 10행 17자를 기본으로 하고, 전체 본문에 걸쳐 계선(界線)을 판각하였다. 판심의 양식은 아래위 백구(白口)에 어미(魚尾)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로 균일하다.
판수(板首)의 제목은 ‘고은선생문집(皐隱先生文集)’이고, 판심의 제목은 ‘고은문집(皐隱文集)’이다.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18~20×47~48㎝ 내외로 비교적 고른 편이나 긴 판은 가로 길이가 50㎝가 되는 판도 있다. 반곽(半廓)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19×17㎝로 거의 일정하다.
반면, 판목의 두께는 2㎝ 내외로 비교적 고른 편이나 얇은 판은 1.5㎝에서 두꺼운 판은 3.2㎝에 달해 편차가 발생하여 두께의 드나듦이 큰 편이다. 이에 따라 책판의 무게 또한 적게는 1㎏ 미만에서 많게는 1.6㎏이 넘는 것도 있다. 평균적인 목판의 무게는 1.4㎏에서 1.5㎏ 내외로 다른 책판에 비하면 가벼운 편이다. 이러한 판목의 무게 차이는 판목을 재단할 때 두껍지 않게 했거나 판의 재질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판목의 보존 상태는 전반적으로는 양호하지만, 일부 판에서는 판의 균열과 마구리의 균열 및 부식이 진행되었다. 예컨대, 판의 균열이 발생한 판은 서문의 제1/2장, 권2의 제5/6장, 권3의 제3/4장, 권3의 제11/13장, 제13/14장, 권4의 19/20장 등이 있다. 또한 마구리의 균열이 발생한 판으로는 서문의 제1/2장, 세계도의 제1/2장, 연보의 제15/16장 등이 있고, 본문을 새긴 판에서 충해나 누습으로 인한 판의 부식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외에도 마구리의 형태와 묵서 기록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책판 제작 시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의 결합 형태는 나무못, 즉 목심을 가운데에 한 개 또는 두 개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일관되게 제작하였다. 그리고 판면이 마구리에 고정되는 부분은 마구리의 좌우측 끝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구리의 홈 크기와 본문판이 결합되는 부분이 맞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마구리와 판면을 결합한 뒤 목심을 마구리의 좌우측 바깥 부분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보강하여 흔들림을 방지하였다.
마구리의 형태는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크기도 비교적 균정한 편이며, 본문보다 5㎝ 내외로 크게 제작되어 본문을 새긴 판을 견고하게 지탱하고 있다. 그리고 마구리의 앞면이나 바깥쪽에는 문집명과 책판이 해당하는 장차를 묵서(墨書)해 두었다.
전존하는 목판 중 단면으로 판각된 것은 세계도의 제3장, 서문의 제5장, 세계도의 제8장, 권2의 제7장, 권4의 제21장의 모두 2판이다.
특이사항 :
전존하는 목판 중 각 권을 찍은 목판의 전후에 다른 권차의 장이 연속되지 않고 다른 권차의 장과 함께 판각한 것이 있다. 서문의 제5장/발문의 제8장, 서문의 제6장/발문의 제7장, 목록의 제3장/권2의 제20장, 권2의 제10/13장, 권2의 제21장과 권4의 제22장이 그러한 예이다.
특히 서문의 제5/6장과 발문의 제7/8장은 같은 판의 전후 면에 새기지 않고 서문의 제5장/발문의 제8장, 서문의 제6장/발문의 제7장과 새긴 것이 특이한 경우이다.
또한 일반적인 판각의 형태로 볼 때 권2의 제7장과 제8장은 같은 판의 전후 면에 새기는 것이지만 권2의 제7장의 뒷면의 제8장은 판각 시 각수의 실수가 있어 권2의 제8/9장이 한판에 새겨져 있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1,2)(3,4)(5,跋-8)(6,跋-7) 4
目錄 (1,2)(3,卷2-20) 2
世系圖 (1,2)(3,4)(5,6)(7,8) 4
卷1 (1,2)(3,4) 2
卷2 (1,2)(3,4)(5,6)(7,空)(8,9)(10,13)(11,12)(14,15)(16,17)(18,19)(21,卷4-22) 11
卷3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 14
卷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空) 11
(1,2)(3,4)(5,6) 3
日記跋 (1,空) 1
(1,2)(3,4)(5,跋-8)(6,跋-7) 4
目錄 (1,2)(3,卷2-20) 2
世系圖 (1,2)(3,4)(5,6)(7,8) 4
卷1 (1,2)(3,4) 2
卷2 (1,2)(3,4)(5,6)(7,空)(8,9)(10,13)(11,12)(14,15)(16,17)(18,19)(21,卷4-22) 11
卷3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 14
卷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空) 11
(1,2)(3,4)(5,6) 3
日記跋 (1,空) 1
서지/해제 작성자 : 임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