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흥해배씨 녹동리사 괴담종택 > 괴담선생사서찬요

괴담선생사서찬요(槐潭先生四書纂要)

조선 후기의 학자 괴담(槐潭) 배상열(裵相說, 1759-1789)이 사서(四書) 가운데 『대학(大學)』에 대한 주석을 모아서 편찬한 내용을 새긴 책판이다. 이돈우(李敦禹)가 작성한 서문을 비롯하여 본문을 새긴 책판 36판이 완질로 남아 있다.
괴담선생사서찬요(槐潭先生四書纂要)

1  /  36

  • 저자
    배상열(裵相說)(저)
    판심제
    槐潭先生四書纂要
  • 기탁처
    흥해배씨 녹동리사 괴담종택
    서문
    李敦禹
  • 발문
    판각시기
    1882년
  • 완본수
    36
    현존수
    36
  • 결락수
    0
인물정보
배상열(裵相說) [영조 35년(1759) - 정조 13년(1789)]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으로, 영조 35년(1759) 12월 25일 안동부(安東府)의 내성현(乃城縣) 유로리(留老里)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군필(君弼), 호는 괴담(槐潭)이다. 백죽당(栢竹堂) 배상지(裵尙志)의 후손으로, 증조는 배응만(裵應萬), 조부는 배행목(裵行睦)이다. 아버지는 배집(裵緝)이고, 모친은 안동권씨(安東權氏)로 권경여(權慶餘)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자질이 빼어나고 총명하였으나, 집안이 빈한하여 특별한 스승의 가르침 없이 남의 책을 빌려다 읽으며, 독학으로 『주역(周易)』과 『율려신서(律呂新書)』등을 공부하였다. 젊어서 율여(律呂), 산학(算數), 천문(天文), 지리(地理) 등 상수학(象數學) 관련 서적을 두루 읽었으며, 역학(易學)에 더욱 힘을 쏟았다.

정조 4년(1780) 그의 나이 22세 때에는 이상정(李象靖)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배웠으며, 사서(四書)와 성리서(性理書)에 뜻을 두고 침잠하였다. 그리하여 비교적 젊은 나이임에도 『도학육도(道學六圖)』, 『서계쇄록(書計鎖錄)』, 『사서의의(四書疑義)』, 『성리찬요(性理纂要)』, 『사서찬요(四書纂要)』, 『계몽도해(啓蒙圖解)』등을 저술하였다.

괴담(槐潭) 배상열(裵相說)의 인물과 성품에 대하여 그의 묘표(墓表)를 지은 류장원(柳長源)은 궁벽한 마을에 살아 징험할 만한 문헌이 없었고, 보는 것은 농사짓는 일에 불과하였다고 탄식하였다. 또한 김희락(金熙洛)은 괴담을 추모하는 제문(祭文)에서 궁벽한 마을에서 태어나 애초 사우(師友)의 도움이 없었다고 하였으며, 그럼에도 한 구절 한 구절의 소소한 지식과 해석 모두 몸소 그 경지에 나아가 자득(自得)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고 평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괴담은 뛰어난 자질을 바탕으로 독학을 통해 자득하여 학문을 성취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병약한 탓이었던지 정조 13년(1789) 봄에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에 갔다가 시험에는 응시하지 않고 돌아왔고, 그로부터 얼마 뒤인 같은 해 4월 14일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으니, 이 때 괴담의 나이는 불과 31세였다.
자세히 보기
문집정보
구성 :
이 책의 내용은 사서(四書) 중에서 『대학(大學)』에 대한 주석을 모아서 편집한 것이다. 괴담(槐潭) 배상열(裵相說)이 『사서찬요(四書纂要)』를 간행하면서 『대학』 1책과 『중용(中庸)』 1책만을 간행한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사서찬요』라고 하여도 대학편과 중용편의 두 판본만이 남아 전한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자면, 이 책의 서명 또는 판명(板名)은 「괴담선생대학찬요(槐潭先生大學纂要)」가 좀 더 정확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으로 권수제(卷首題)에는 ‘괴담선생사서찬요(槐潭先生四書纂要) 대학(大學)’이라 새겨져 있다.

「대학찬요(大學纂要)」의 구성을 보면, 이돈우(李敦禹)의 서문에 이어, 「편집대의(編輯大意)」와 「인용서목(引用書目)」를 앞부분에 두어 편집 기준과 인용 문헌에 대해 밝히고 있다. 서목에서 밝히고 있는 인용서는 『주자대전(朱子大全)』, 『퇴계선생언행록(退溪先生言行錄)』, 『입학도설(入學圖說)』, 『율곡선생문집(栗谷先生文集)』등 모두 44종이다.

그리고 본문은 「대학도(大學圖)」에서 시작하여, 「대학연의지도(大學衍義之圖)」, 「소학대학상위종시(小學大學相爲終始)」, 「대학총론(大學總論)」,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 「독법(讀法)」, 「장구대전(章句大全)」의 순서로 구성되었으며, 총 분량은 70장에 달한다. 「장구대전(章句大全)」의 앞에 수록된 것은 『대학』을 이해하기 위한 길잡이 해설 정도의 의미로 여겨진다.

한편, 이 책의 편집 기준과 저술 의도는 권수(卷首) 부분에 수록된 「편집대의(編輯大意)」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 내용을 요약하여 살펴보면, 첫째, 사서를 풀이한 학자들의 학설이 여럿 존재하고 있으나, 모두 구해 보기란 어려우므로 그 요점만을 모아서 열람하기 편하도록 하였다.

둘째, 여러 학자들의 번거롭고 산만한 학설을 간추려 요약하였다.

셋째, 중국과 동료 학자들의 문집 중에는 경의(經義)를 설명한 것들이 많이 있으니, 계속 찾아내고 추가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장구(章句)와 집주(集註), 소주(小註) 등을 풀이한 것은 반드시 구별하여 표기하였고, 같은 주제라도 학자들에 따라 해설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그 출전과 인명을 밝혔다.

다섯째, 앞선 학자들의 학설 중에 서로 배치되어 절충하기 어려운 것은 ○표를 붙여서 구분하고, 나란히 수록하였다.

이 외에도 몇 가지 편집 원칙을 더 제시하였는데, 이와 같이 상세한 방침을 붙인 것은 조선시대 학자들의 사서 주해서(註解書)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이다. 괴담이 이처럼 상세한 원칙을 제시한 것은 저술에 있어서도 조직적 체계를 매우 중시한 그의 학문관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간역 :
이 책이 간행된 시점에 대하여 서문의 제2장 제6행에 ‘금상십구년임오간행우세(今上十九年壬午刊行于世)’라고 하여, 고종 19년(1882)에 출판되었음을 밝혀 두었다. 더불어 책의 권말 마지막 행에는 ‘괴담선생사서찬요(槐潭先生四書纂要) 대학종(大學終)’이라 새겨 본문의 내용이 일단락되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목판정보
보관과정 :
책판은 제작된 뒤 괴담종택의 녹동리사(鹿洞里社)의 재실(齋室)에 보관되어 왔다. 제기(祭器)를 보관하는 방에 제기의 아래쪽에 책판을 쌓아두고 나무판으로 막아 비교적 안전하게 보관하였다는 전언(傳言)이 있다.
결락정보 :
서문을 새긴 2판을 비롯하여 본문의 제70장까지 모두 36판이 누락 없이 완질을 갖추어 남아 있다.
형태적특징 :
책판은 해서(楷書)로 일관되게 판각된 36장의 판이 누락 없이 완질로 남아 있다. 보존 상태도 고종 19년(1882)에 판각되어 비교적 많은 인본(印本)이 인출되었던 것에 비하면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본문을 새긴 판면 또한 큰 마멸 없이 육안으로 자획(字劃)이 판독되는 수준이다.

책판의 판각 양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의 광곽(匡郭) 안에 계선(界線)을 판각하였으며, 글자의 배치는 서문(序文)의 경우 11행 18자를 두었고, 본문은 11행 22자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판심에는 아래위 백구(白口)에 어미(魚尾) 형태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로 균일하다.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를 보면, 세로는 23cm 내외로 거의 일정한 반면, 가로는 크기가 50-52cm 내외로 약간의 드나듦이 있다. 그리고 판면을 새긴 반곽(半廓)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대략 22×17cm로 일정하게 판각되었다.

한편, 판목의 두께는 2.3-4cm 내외로 어느 정도 편차가 있다. 따라서 목판의 무게 또한 적게는 1.9kg에서 많게는 2.7kg이 넘는 판들까지 비교적 차이가 큰 편이다. 그 밖에 책판의 좌우에는 모두 마구리가 덧대어져 있는데, 일부 판은 마구리가 떨어져 나가 있기도 하다.

책판 제작 시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의 결합 형태는 나무못, 즉 목심으로 가운데에 한 개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일관되게 제작되었다. 그리고 판면이 마구리에 고정되는 부분은 마구리의 좌우까지 끝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구리의 홈 크기와 본문 판이 결합되는 부분이 맞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에는 마구리와 판면을 결합한 뒤 목심을 마구리의 좌우측 바깥 부분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보강하여 흔들림을 방지하였다. 흔들림 방지를 위한 이와 같은 보강 형태는 이 시기에 제작된 여러 문집 책판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방식이다.

마구리의 형태는 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주를 이루지만, 간혹 직사각형이나 비대칭형 사각 형태도 섞여 있다. 마구리는 본문보다 5cm 내외로 크게 제작되었고, 그 크기는 균일한 편이다. 그리고 마구리의 바깥쪽에는 판의 명칭과 본문의 해당 장차를 묵서(墨書)해 두었다. 예컨대 ‘대학(大學) 이십삼사장(二十三四章)’ 또는 ‘대학(大學) 이십구(二十九) 삼십장(三十章)’과 같이 적혀 있는데, 장차를 세는 단위로 ‘장(章)’을 기입한 것은 특이하다.

다만, 이와 같은 묵서 기록이 마멸로 인하여 판독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마구리에 기록된 묵서기(墨書記)에는 다른 문집판의 사례에서와 같이 판을 새긴 각수나 교정한 사람의 이름은 적혀 있지 않다.

한편, 전체 책판은 모두 양면 판각으로 일관되었고, 단면으로 판각된 판은 없다. 더불어 글자를 새긴 판면과 마구리가 결합되는 부분은 어김없이 마름모꼴로 줄어들어 마구리와 결합 부분을 줄였다.

이러한 판면과 마구리의 결합 방식은 작업의 효율성 및 보존성을 함께 고려한 결과로 보인다. 즉 판면과 결합되는 홈 부분이 너무 크면 마구리가 갈라질 수도 있고, 홈을 파내는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그렇다고 너무 작으면 결합 부분이 부러질 수 있거나, 인쇄나 보관 시 판목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 이유에서 판면과 마구리가 결합되는 홈의 크기는 항상 마구리의 1/3 정도를 차지하도록 파내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다른 문집판들에서도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이다.
특이사항 :
서문을 새긴 책판의 제2장 뒷면에 해당하는 제1-6행은 개각(改刻)되어 보충되어 있다. 이는 목판본 간행 시 자주 볼 수 있는 전형적인 개각의 형태로, 제1-5행 전체를 새로 판각하고, 기존의 오류가 발생한 5행 분량을 파내어서 대체하는 방식이다.

또한, 같은 면 제6행도 내용이 모두 삭제되었다. 이러한 방식의 교정 사례는 판하본(板下本)의 오류가 심각하거나, 각수가 판각을 하면서 여러 행에 걸쳐 잘못 새겼을 경우 주로 나타난다. 그리고 판각할 당시와 이를 인출하는 시점에 달라진 정보가 있을 경우에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기도 하였다.

한편, 본문의 「편집대의(編輯大意)」를 새긴 본문 제1장의 우측 마구리는 완전히 떨어져 나가서 한쪽 마구리만 남아 있다. 그 밖에 본문 제17/18장의 우측 마구리도 보존 과정에서 홈이 발생하는 등 일부가 손상되었다.

그리고 제7/8장을 새긴 판의 우측 마구리에는 금이 발생했고, 제23/24장은 좌측 마구리의 하단부에 균열이 생겼다. 또한, 제37/38장의 좌측 마구리, 제43/44장의 우측 마구리와 제25/26장의 좌측 마구리에는 나무못을 박으면서 갈라진 것으로 보이는 하자가 확인된다.

본문에 균열이 발생한 것은 제55/56장 한 판에 불과하고, 그 밖에 다른 문집판들에서 자주 보이는 판목이 휘는 현상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1,2) 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 35
(1,2) 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 35
(1,2) 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 35
(1,2) 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 35
(1,2) 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 35
(1,2) 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 35
(1,2) 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 35
서지/해제 작성자 : 임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