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인동장씨 녹리고택 > 사미헌문집

사미헌문집(四未軒文集)

조선 말기의 학자인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 1815∼1900)의 시문집을 새긴 책판이다. 책판은 목록(目錄), 본문 등을 새긴 11권 6책 분량으로 전체 127판이 남아 있다.
사미헌문집(四未軒文集)

1  /  127

  • 저자
    장복추(張福樞)(저)
    판심제
    四未軒文集
  • 기탁처
    인동장씨 녹리고택
    서문
  • 발문
    판각시기
    1906년
  • 완본수
    0
    현존수
    127
  • 결락수
    130
인물정보
• 장복추 [張福樞, 순조 15년(1815)~고종 37년(1900)]

저자 장복추(張福樞)는 조선 말기의 유학자로 본관은 인동(仁同) 사람이다. 그의 자(字)는 경하(景遐), 호는 사미헌(四未軒)이다. 생부(生父)는 장굉(張浤)이고, 3세 때 조부의 명에 따라 큰아버지 장관(張寬)에게 입양되었다.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8대손이며, 조부 각헌(覺軒) 장주(張儔)로부터 학업의 기초를 닦으면서 19세기 후반 폭넓은 저술 활동으로 후배 유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선생은 1859년에 유학의 기본 골격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학문 방향을 설정하면서 효(孝), 경(敬), 충(忠), 신(信)의 4가지 기본 덕목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고 스스로 질책하면서 집에 ‘사미헌(四未軒)’이란 당호를 걸고 자기 수양과 성찰을 중시하였다. 그의 학행과 명성이 알려져 1881년 경학(經學)으로 천거되어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 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 절충장군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龍驤衛副護軍) 등의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거절하고 초야에 머물면서 학문 연구에 매진하였다.
학문적으로 이진상(李震相), 곽종석(郭鍾錫), 허훈(許薰) 등과 함께 주리설(主理說)을 발전시켰으며 한말 유학의 전통성 유지와 실천에 힘쓴 대표적 주자학자이다.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를 모시던 우산서원(愚山書院)이 철폐되자 복건(復建)을 앞장서 주청하고, 1884년에 의제개혁(衣制改革)이 시행되자 이를 성토하는 상소를 올렸다.
1895년에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인동 주변의 유림들이 의병을 일으킬 것을 청하자 그는 무모하게 참여하면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화만 자초할 것이라는 신념에 따라 완곡히 사절하였다. 그는 거의 독학으로 공부하여 영남 유학에 일가를 이루었고 계속 초야에 머물며 4백여 명의 제자를 배출하면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문집정보
구성 :
『사미헌문집(四未軒文集)』에는 서문과 발문은 없으며, 권1에는 시(詩) 107제(題) 130수, 소(疏) 2편이 실려 있다. 2편의 소(疏) 중 「의청우산서원복설소(擬請愚山書院復設疏)」는 1869년에 지은 것으로,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를 배향하던 우산서원(愚山書院)이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자 다시 세울 것을 주장하는 내용의 상소문이고, 「청물개의제소(請勿改衣制疏)」는 1884년의 의제개혁(衣制改革)을 예학자의 관념에서 반대한 것으로 급변하는 사회현실에 대처하는 주자학자의 의식을 볼 수 있다.
권2~6은 서(書) 257편으로 경학과 성리학 그리고 예학에 대해 논한 것이 대부분이다. 권6에는 잡저(雜著) 15편이 실려 있다. 그 중 「태극도설문답(太極圖說問答)」은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에 대하여 초수(楚叟)라는 가상인물을 내세워 사미헌과 문답하는 식으로 되어 있다. 「모원당강의(慕遠堂講義)」는 앞부분에는 『논어』와 『맹자』에서 몇 구절을 인용하여 스스로 문답하는 식으로 되어 있다. 「답조충가유찬문목(答曺忠可有讚問目)」은 음양의 기(氣)가 갖는 동정은 이(理)에 의해서 주재되고 제약된다고 하여 이의 규정성과 기의 피규정성을 논하고 있다.
권7은 서(序) 23편과 기(記) 21편이 실려 있다. 서문에는 저자의 저술인 『가례보의(家禮補疑)』와 『숙흥야매잠집설(夙興夜寐箴集說)』의 서문이 있다. 권8은 발(跋) 9편, 잠(箴) 2편, 명(銘) 7편, 찬(贊) 2편, 상량문(上樑文) 3편, 축문(祝文) 10편, 제문(祭文) 16편, 뇌문(誄文) 2편, 애사(哀辭) 7편이 실려 있다.
수록된 작품의 잠(箴) 가운데 「훈가구잠(訓家九箴)」은 가정에서 지켜야 할 9항목의 윤리규범을 수록한 것으로 사부모(事父母), 우형제(友兄弟), 근부부(謹夫婦), 교자손(敎子孫), 경제사(敬祭祀), 접빈우(接賓友), 돈친척(敦親戚), 면독서(勉讀書), 권농상(勸農桑)로 되어 있다. 권9~10에는 비(碑) 4편, 묘지명(墓誌銘) 17편, 묘갈명(墓碣銘) 61편이 실려 있으며, 권11에는 행장(行狀) 19편, 유사(遺事) 6편, 전(傳) 1편이 실려 있다.
간역 :
『사미헌문집(四未軒文集)』은 사미헌 장복추의 아들 장석빈(張錫贇, 1845∼1913)과 문인들에 의해 편집, 정리되어 1906년에 11권 6책의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송준필(宋浚弼)의 『공산집(恭山集)』에 수록된 시에는 사미헌의 문인인 장승택(張升澤), 허훈(許薰) 등이 신광사(神光寺)에서 유문(遺文)을 교정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1904년에 유문의 정리와 교정을 시작하여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목판정보
결락정보 :
문집판은 목록, 본문 등 부분별로 결락판이 다소 발생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판은 127판이다. 목판의 한 면만을 판각한 경우가 많아 완판이 얼마인지는 가늠하기 어렵다. 결락판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목록 : 1/2, 3/4, 5/6, 8, 20, 25/26, 31/32
권1 : 1/2, 7, 10/11, 18/19, 21, 28/29
권2 : 2, 11/12, 15/16, 17/18, 19/20, 22, 23, 24, 26, 30, 32, 33
권3 : 2, 3, 4, 7/8, 13/14, 15/16, 17/18, 21/22, 23, 25, 29
권4 : 1/2, 3/4, 7/8, 11/12, 13/14, 21/22, 23/24, 25/26, 27/28, 29/30
권5 : 1/2, 5/6, 9/10, 13/14, 17/18, 19/20, 25/26, 27/28,
권6 : 5/6, 11/12, 14, 18, 20, 21/22, 23/24, 25/26, 27/28, 29/30, 33/34
권7 : 1/2, 3/4, 5/6, 8/9, 11/12, 17/18, 19/20, 22, 23/24, 31
권8 : 7/8, 9/10, 11/12, 19/20, 21/22, 27/28, 29/30, 31/32
권9 : 1, 3, 9/10, 11/12, 15/16, 21/22, 23/24, 25/26, 37/38, 39/40, 41, 45/46, 47/48, 49/50, 53/54, 55/56, 57/58, 59/60, 61/62
권10 : 2, 3/4, 5/6, 7/8, 9/10, 11/12, 13/14, 19/20, 21/22, 24, 25/26, 31/32, 38/39
권11 : 1/2, 3/4, 7/8, 9/10, 11/12, 13/14, 15/16, 19/20, 23/24, 25/26, 27/28, 39/40, 41/42, 43/44, 45/46, 47/48, 51/52
형태적특징 :
책판의 보존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며, 사주단변(四周單邊)의 광곽(匡郭) 안에 본문은 해서(楷書)로 새겼다. 문집판은 권1에서 권11에 이르기까지 일부 누락이 있으며 127판이 남아 있다.
본문의 판각 체제는 10행 20자를 기본으로 하고, 전체 본문에 걸쳐 계선(界線)을 판각하였다. 판심의 양식은 아래위 백구(白口)에 어미(魚尾)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로 균일하다. 판수(板首)의 제목은 ‘사미헌문집(四未軒文集)’이고, 판심의 제목도 동일하다.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0×55㎝ 내외로 비교적 고른 편이고, 가로길이가 52㎝~58㎝까지 드나듦이 큰 편이다. 반곽(半廓)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0×18㎝로 거의 일정하다.
반면, 판목의 두께는 얇은 판은 1.5㎝에서 두꺼운 판은 3.2㎝에 달해 약간의 편차가 발생하여 두께의 드나듦이 큰 편이다. 평균적인 두께는 2㎝ 내외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책판의 무게 또한 적게는 1.4㎏에서 많게는 2.3㎏이 넘어서 비교적 차이가 크다. 평균적인 목판의 무게는 1.7㎏에서 2.0㎏ 내외이다.
한편, 판목의 보존 상태는 전반적으로는 양호하지만, 일부 판에서는 판의 균열과 마구리의 균열 및 부식이 진행되었다. 예컨대, 목록 제9/10장, 권4의 제19/20장, 권10의 제28/권9의 제57장은 판면의 훼손이 심한 편이다. 판의 균열이 발생한 판은 목록의 제15/16장, 권1의 제12/13장, 권1의 제22/23장, 권1의 제24/25장, 권2의 제13/14장, 권8의 제17/18은 가로로 균열이 생겼다. 또한 권3의 제6장, 권6의 제13장은 일부 글자에 있어 마모가 생긴 것이 보인다. 본문을 새긴 판에서 충해나 누습으로 인한 판의 부식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외에도 마구리의 형태와 묵서 기록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책판 제작 시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의 결합 형태는 나무못, 즉 목심을 가운데에 한 개 또는 두 개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일관되게 제작하였다. 그리고 판면이 마구리에 고정되는 부분은 마구리의 좌우측 끝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구리의 홈 크기와 본문판이 결합되는 부분이 맞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마구리와 판면을 결합한 뒤 목심을 마구리의 좌우측 바깥 부분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보강하여 흔들림을 방지하였다.
마구리의 형태는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크기도 비교적 균정한 편이며, 본문보다 5㎝ 내외로 크게 제작되어 본문을 새긴 판을 견고하게 지탱하고 있다. 그리고 마구리의 앞면이나 바깥쪽에는 문집명과 책판이 해당하는 권차(卷次)와 장차(張次)를 묵서(墨書)해 두었다.
전존하는 목판 중 단면으로 판각된 것이 많은 편이다. 목록의 제33장, 권1의 제8장, 권1의 제20장, 권2의 제1장, 권2의 제21장, 권2의 제25장, 권2의 제29장, 권2의 제31장, 권2의 제34장, 권3의 제6장, 권3의 제24장, 권3의 제26장, 권3의 제27장, 권3의 제28장, 권3의 제30장, 권3의 제31장, 권6의 제17장, 권6의 제19장, 권7의 제7장, 권7의 제15장, 권7의 제16장, 권7의 제27장, 권7의 제28장, 권9의 제4장, 권9의 제6장, 권9의 제43장, 권9의 제44장, 권10의 제1장, 권10의 제29장, 권10의 제37장 등 모두 28판이다.
특이사항 :
전존하는 목판 중 각 권의 목판의 전후에 연속되지 않은 다른 권차의 장과 함께 판각한 것이 있다. 권1의 제9장과 권3의 제34장, 권3의 제1장과 권1의 제7장, 권3의 제5장과 권1의 제19장, 권3의 제33장과 제35장, 권7의 제10장과 권6의 제13장, 권7의 제21장과 제32장, 권9의 제42장과 제50장, 권10의 제28장과 권9의 제57장, 권10의 제30장과 제40장이 그러한 예이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目錄 (9,10)(11,12)(13,14)(15,16)(17,18)(21,22)(23,24)(27,28)(29,30)(33,空) 10
卷1 (3,4)(5,6)(8,空)(9,卷3-34)(12,13)(14,15)(16,17)(20,空)(22,23)(24,25)(26,27)(30,31) 12
卷2 (1,空)(3,4)(5,6)(7,8)(9,10)(13,14)(21,空)(25,空)(27,28)(29,空)(31,空)(34,空) 12
卷3 (1,卷1-7)(5,卷1-19)(6,空)(9,10)(11,12)(19,20)(24,空)(26,空)(27,空)(28,空)(30,空)(31,空)(33,35) 13
卷4 (5,6)(9,10)(15,16)(17,18)(19,20)(31,32)(33,34) 7
卷5 (3,4)(7,8)(11,12)(15,16)(21,22)(23,24)(29,30) 7
卷6 (1,2)(3,4)(7,8)(9,10)(15,16)(17,空)(19,空)(31,32)(35,36) 9
卷7 (7,空)(10,卷6-13)(13,14)(15,空)(16,空)(21,32)(25,26)(27,空)(28,空)(29,30) 10
卷8 (1,2)(3,4)(5,6)(13,14)(15,16)(17,18)(23,24)(25,26)(33,34) 9
卷9 (2,5)(4,空)(6,空)(7,8)(13,14)(17,18)(19,20)(27,28)(29,30)(31,32)(33,34)(35,36)(42,50)(43,空)(44,空)(51,52)(63,64)(65,66) 18
卷10 (1,空)(15,16)(17,18)(23,35)(27,36)(29,空)(28,卷9-57)(33,34)(37,空)(30,40) 10
卷11 (5,6)(17,18)(21,22)(29,30)(31,32)(33,34)(35,36)(37,38)(49,50)(53,54) 10
目錄 (9,10)(11,12)(13,14)(15,16)(17,18)(21,22)(23,24)(27,28)(29,30)(33,空) 10
卷1 (3,4)(5,6)(8,空)(9,卷3-34)(12,13)(14,15)(16,17)(20,空)(22,23)(24,25)(26,27)(30,31) 12
卷2 (1,空)(3,4)(5,6)(7,8)(9,10)(13,14)(21,空)(25,空)(27,28)(29,空)(31,空)(34,空) 12
卷3 (1,卷1-7)(5,卷1-19)(6,空)(9,10)(11,12)(19,20)(24,空)(26,空)(27,空)(28,空)(30,空)(31,空)(33,35) 13
卷4 (5,6)(9,10)(15,16)(17,18)(19,20)(31,32)(33,34) 7
卷5 (3,4)(7,8)(11,12)(15,16)(21,22)(23,24)(29,30) 7
卷6 (1,2)(3,4)(7,8)(9,10)(15,16)(17,空)(19,空)(31,32)(35,36) 9
卷7 (7,空)(10,卷6-13)(13,14)(15,空)(16,空)(21,32)(25,26)(27,空)(28,空)(29,30) 10
卷8 (1,2)(3,4)(5,6)(13,14)(15,16)(17,18)(23,24)(25,26)(33,34) 9
卷9 (2,5)(4,空)(6,空)(7,8)(13,14)(17,18)(19,20)(27,28)(29,30)(31,32)(33,34)(35,36)(42,50)(43,空)(44,空)(51,52)(63,64)(65,66) 18
卷10 (1,空)(15,16)(17,18)(23,35)(27,36)(29,空)(28,卷9-57)(33,34)(37,空)(30,40) 10
卷11 (5,6)(17,18)(21,22)(29,30)(31,32)(33,34)(35,36)(37,38)(49,50)(53,54) 10
서지/해제 작성자 : 임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