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안동권씨 대종회 > 약재선생문집

약재선생문집(約齋先生文集)

조선 후기의 학자인 약재(約齋) 권병(權炳, 1723∼1772)의 시문집을 새긴 책판이다. 책판은 서문(序文)을 비롯하여 8권의 본문과 부록 1권을 새긴 4책 분량의 187판이 누락 없이 완질로 남아 있다.
약재선생문집(約齋先生文集)

1  /  187

  • 저자
    권병(權炳)(저), 권괴(權?)(편)
    판심제
    約齋先生文集
  • 기탁처
    안동권씨 대종회
    서문
    이광정(李光靖)(1786)
  • 발문
    판각시기
    1811년
  • 완본수
    187
    현존수
    187
  • 결락수
    0
인물정보
• 권병[權炳, 경종 3년(1723)-영조 48년(1772)]

문집의 저자 권병은 조선 후기 영조(英祖)대의 학자였다. 권병의 자는 경회(景晦), 호는 약재(約齋),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권병의 아버지는 권세해(權世楷)이며, 어머니는 전주류씨(全州柳氏)로 류득시(柳得時)의 딸이다. 증조부는 권주하(權柱厦)이고, 할아버지는 권태형(權泰衡)이다.

◈퇴계의 학통을 이어 성리학을 궁구한 재야 사림학자
권병은 퇴계의 학통을 이은 권구(權榘, 1672∼1749)의 문하에서 학문을 시작하여, 이상정(李象靖), 이종수(李宗洙) 등과 함께 공부하고 교유하였고, 후에는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임을 자처하였다. 학문적으로 과거(科擧)에 집착하기보다는 심성(心性), 이기(理氣) 등 성리학의 요체를 연구하는 데 주력하여 세계와 인생을 해명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는 과거에 급제해서 출세하는 것에는 큰 욕심이 없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계속적인 권유로 40세인 영조 39년(1763) 증광시(增廣試)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1764년에 승문원(承文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에 올랐으며, 약 8년간의 내직 생활을 지내다가 영조 48년(1772)에 지병이 악화되어 관직을 사직하였다.
자세히 보기
문집정보
구성 :
본문의 전체적인 편성을 살펴보면, 권수에는 이광정이 정조 10년(1786년)에 지은 서문이 있다. 이어 목록이 나오는데 목록은 전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 권1 앞에 권1~2의 목록, 권3 앞에 권3~4의 목록, 권5 앞에 권5~6의 목록, 권7 앞에 권7~9의 목록이 있다.
권1은 시 80수, 권2∼4는 서(書) 90편, 권5∼8은 잡저(雜著) 24편, 서(序) 2편, 발(跋) 9편, 명(銘) 2편, 제문(祭文) 4편, 애사(哀詞) 3편, 권9는 부록으로 이종수가 지은 행장(行狀), 이상정, 권괴 등이 지은 제문(祭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경전을 재해석하며 주리론과 수양에 대해 탐구하다
잡저는 주로 성리학이나 경전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적은 것이 많다. 그 중 「사문록」(思問錄)은 사서(四書) 중에서 의심나는 곳을 적은 것이며, 「명」(銘)은 학문하는 선비가 가져야 할 수칙을 정리한 것이다.
시는 주로 학문과 관련된 저자의 사상이 담긴 것이 많으며, 특히 퇴계 이황과 관련된 것이 많다. 서(書)는 이상정, 이종수 등의 교우들과 나눈 것으로 주로 학문을 논의한 내용이다. 서간에서는 자신이 학문에 매진하게 된 동기와 이상정의 문하에 입문하게 된 배경을 밝히고 있다. 부인 장씨(張氏)에 대한 제문(祭文)은 부인이 자식 없이 일찍 세상을 떠나자 이를 애도하며 지은 것으로, 길고 절절한 문장에 떠난 부인에 대한 감회와 애틋한 감정이 나타나 있다.
간역 :
『약재선생문집』은 백형 권괴(權烠)가 집에 전해오는 초고(草稿)를 바탕으로 여러 글을 모으고 문집의 체계에 맞추어 1차적으로 편성하였다. 저자의 친구인 이광정(李光靖), 이종수가 일차적으로 교정하였고, 질자(姪子) 시필(時駜)과 종질 시봉(時鳳)이 재차 교정하여 순조 11년(1811)에 간행하였다.
자세히 보기
목판정보
결락정보 :
책판은 각 권의 맨 앞에 수록된 목록과 8권 분량의 본문을 새긴 187판이 완질로 남아 있다.
형태적특징 :
책판의 보존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며, 사주쌍변(四周雙邊)의 광곽(匡郭) 안에 해서(楷書)로 본문을 새긴 완질 187판이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

본문의 판각 양식은 10행 20자로 계선(界線)을 판각하고, 아래위 백구(白口)에 판심의 어미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로 균일하다.
판수(板首)의 제목은 ‘約齋先生文集’이고, 판심의 제목도 동일하다.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0×51cm 내외로 비교적 고른 편이나 가로가 54cm에 이르는 판도 있다. 반곽(半郭)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0×16.5cm로 거의 일정하다. 판목의 두께는 2cm가 대부분이나 얇게는 1cm, 넓게는 4cm 내외로 편차가 보이는 것도 있다. 책판의 무게 또한 적게는 1.5kg에서 많게는 3kg이 넘어서 비교적 차이가 많은 편이다.
책판의 좌우에는 모두 마구리가 부착되어 있고, 판의 전반적인 보존 상태는 양호하다. 다만, 판에 따라서 일부 판목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목록 권3의 제1/2장은 목판의 하단 일부에 훼손이 있다. 하지만 두 판 모두 본문을 새긴 부분은 훼손되지 않았으며, 내용 또한 판독 가능한 상태이다.

책판 제작 시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의 결합 형태는 나무못, 즉 목심을 가운데에 한 개 또는 두 개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판면이 마구리에 고정되는 부분은 마구리의 좌우측 끝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마구리의 홈 크기와 본문판이 결합되는 부분이 맞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마구리와 판면을 결합한 뒤 목심을 마구리의 좌우측 바깥 부분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보강하여 흔들림을 방지하였다.

마구리의 형태는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크기도 비교적 균정한 편이며, 본문보다 5cm 정도 크게 제작되어 본문을 새긴 판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마구리의 바깥쪽에는 문집명과 책판이 해당하는 장차 및 판을 새긴 각수의 이름을 묵서(墨書)해 두었다.

묵서 기록 중 일부는 지워지거나 오래 되어 모든 내용이 온전히 파악되지 않는 부분도 있으나, 대다수 목판의 묵서에서 각수로 참여한 사람의 인명을 확인할 수 있다.
주요 각수는 권만복(權萬卜), 김덕손(金德孫), 김덕수(金德守), 김성우(金聖佑), 김우옥(金禹玉), 박대성(朴大成), 손준득(孫俊得), 양우주(梁禹舟), 양치성(梁致星), 진득용(秦得龍), 최경도(崔敬道), 최경인(崔敬仁), 최운백(崔雲白), 최종득(崔宗得), 최후손(崔後孫), 황순옥(黃順玉) 등으로 총 40여 명이 판각에 참여하였다.
특히 각수 중에 승려 각수가 많이 참여 하였다. 이는 각수의 이름 앞에 승려를 나타내는 ‘승(僧)’이라는 표기가 있어 확인 가능하다. 확인된 승려 각수는 계성(啓性), 등휘(登輝), 명숙(明俶), 세윤(世允), 장휘(將輝) 등으로 그 수는 대략 5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각수마다 새긴 판의 수는 모두 일정하지 않으나 6~7판을 새긴 각수가 비교적 많으며 그 중 가장 많이 새긴 각수는 황순옥(黃順玉)으로, 11판을 새겼다. 책판의 제작에는 거제수나무와 고로쇠나무가 사용되었다.
특이사항 :
동일한 각수의 이름도 다양하게 표기되었는데, 서충석(徐忠石 / 徐忠碩), 성천대(成千大 / 成天大), 손석득(孫石得 / 孫碩得), 계성(啓性 / 季性), 최경도(崔敬道 / 敬道), 최경인(崔敬仁 / 敬仁), 최운백(崔云白 / 崔雲白), 박대성(朴大成 / 大成), 김득수(金得守 / 得守), 손준득(孫俊得 / 俊得), 김우옥(金禹玉 / 禹玉 / 金又玉 / 禹玉), 김성우(金聖佑 / 聖佑 / 聖右), 배철신(裵哲身 / 裵喆身) 등이 그러한 사례이다. 이는 판각 관리자가 각수의 이름을 소리 나는 대로 임의로 기록했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
또한 한 판의 전후 면이 연속된 장차가 아닌 판들이 있는데, 권2의 제79장과 권4의 제39장, 권5의 제43장과 권6의 제50장, 목록 권9의 제3장과 권3의 제3장이 그러한 경우이다. 이것은 각 권 중 한 면이 공판(空板)으로 남는 경우, 남은 면에 다른 권의 잔여분을 새겼기 때문이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1,2) 1
目錄 (卷7目錄-1,卷8目錄-2)(1,2)(目錄卷3-1,目錄卷3-2)(3,4)(目錄卷3-4,卷5目錄-)(5,6,)(卷3-3,卷89目錄-3) 8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 11
卷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卷4-39) 40
卷3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19
卷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19
卷5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卷6-50) 22
卷6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空) 25
卷7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19
卷8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 17
卷9附錄 (1,2)(3,4)(5,6)(7,8)(9,10)(11,12)(13,14) 7
서지/해제 작성자 : 작성:임기영
윤문:박상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