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아주신씨 오봉종택, 안동권씨 부정공파 산택재문중 > 오봉선생문집

오봉선생문집(梧峯先生文集)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신지제(申之悌, 1562-1624)의 문집인 『오봉선생문집』 7권 부록 2권 합 4책을 간행한 책판이다. 현재 책판은 원집과 연보를 합쳐 모두 145장이 남아 있으며, 문집이 간행된 후 50년이 지난 1789년에 간행된 별집의 연보 9장이 포함되어 있다. 원집은 모두 136장으로 결락 없이 남아 있으며, 별집은 연보 9장만 남아 있다.
오봉선생문집(梧峯先生文集)

1  /  163

  • 저자
    신지제(申之悌)(저), 이의태(李宜泰)(저)
    판심제
    梧峯先生文集
  • 기탁처
    아주신씨 오봉종택, 안동권씨 부정공파 산택재문중
    서문
    이광정(李光庭)
  • 발문
    권상일(權相一)
    판각시기
    1740년.1789년
  • 완본수
    0
    현존수
    145
  • 결락수
    0
  • 간기
    庚申(1740)仲春藏待書院開刊
인물정보
• 신지제[申之悌, 명종 17년(1562) - 인조 2년(1624)]
본관 아주(鵝洲). 자 순부(順夫), 호 오봉(梧峰)·오재(梧齋).

1589년(선조 22)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 예안현감을 지냈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대구 팔공산 부근에서 활약하였다. 1601년 정언(正言)·예조좌랑, 이듬해 지평(持平)·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등을 거쳐 1604년 세자시강원문학(世子侍講院文學)·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을 역임하였다. 이 해에 임진왜란 호성공신록(扈聖功臣錄)을 작성할 때 글을 지었다. 1613년(광해군 5) 창원부사로 부임하여 명화적(明火賊)을 토평한 공으로 통정대부에 오르고, 인조반정 초에 동부승지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의성에 장대서원(藏待書院)을 세워 자제들의 교육에 힘썼고, 사망 후 장대서원에 배향되었다.
자세히 보기
문집정보
구성 :
『오봉선생문집』은 1740년에 신지에의 현손인 신진구(申震龜)가 의성의 장대서원에서 원집 7권 부록 2권, 합 4책으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이는 문집 말미에 판각된 <庚申(1740)仲春藏待書院開刊>이란 간기에서 확인된다. 현재 남아 있는 책판에는 <연보(年譜)>도 포함되어 있는데, 연보는 1789년에 별집과 연보 1책을 목판으로 간행할 때 사용한 책판이다.
가장되어 있던 신지제의 유고를 현손 신진구, 신하구(申夏龜) 등이 문집으로 간행하기 위하여 이광정(李光庭)에게 부탁하여 유고의 교열을 부탁하였으며, 아울러 서문을 받아 문집에 포함하였다. 여기에 지(誌), 명(銘), 행장(行狀)과 신진구가 지은 후지(後識), 권상일(權相一)의 발(跋)을 첨부하고, 족질(族姪) 신치운(申致雲)이 선사(繕寫)하여, 1740년에 장대서원에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곧이어 현손 신진구가 원집에 들어가지 못한 시문을 수집하고 연보(年譜)를 만들어 김이만(金履萬)에게 정정(訂正)을 받아 별집(別集) 1책을 완성하였으나 간행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이에 신진구의 아들 신도하(申道河)가 6세손 신체인(申體仁)에게 간행을 부탁하고, 신체인은 신진구가 만든 원고를 바탕으로 하고 새로 수집한 〈사승지소辭承旨疏〉 등을 추가하여 1789년에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간역 :
목판정보
보관과정 :
경북 의성의 아주신씨(鵝洲申氏) 오봉종택(梧峯宗宅)에서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 책판은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다.
결락정보 :
원집은 결락 없이 136장이 남아 있다. 별집은 연보 9장만 남았으며, 나머지는 전부 결락이다. 원집과 연보를 합쳐 현재 남은 책판은 모두 145장이다.
형태적특징 :
책판의 제작에는 거제수나무, 박달나무, 고로쇠나무가 사용되었으며 마구리는 소나무로 제작하였다.
각 판면마다 사주쌍변(四周雙邊)의 광곽(匡郭)을 새기고, 광곽 안에 세로로 계선(界線)을 긋고 글을 새겼다. 판면의 글씨는 10행 18자를 기준으로 단정한 해서체 돋을새김으로 판각하였다. 글씨는 현손 신진구의 족질 신치운(申致雲)이 썼다. 판면의 중심인 판심에는 상하내향삼엽화문어미(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를 새겼으며, 판심의 상비선(象鼻線)은 화구(花口)로, 상어미 위에 문집명과 권차를 새겼으며, 하어미 위에 장차를 새겼다. 단 부록은 상비선에 <梧峯集附>라 판각하고, 상어미 아래에 상하(上下)로 장차를 새겼다. 별집에는 상비선에 <梧峯別集>이라 판각하였으며, 권차 없이 장차만 새겼다. 현재 별집은 <年譜>만 남았다.

책판의 판면은 반곽 기준으로 세로 17.6~19.2cm이나 대부분은 18.5cm 전후이며, 가로 14.8~15.8cm이며, 평균 15.0~15.5cm 전후로 매우 균일하게 재단되었다. 전체의 크기는 세로 18.2~20.5,cm이며, 대부분 19.5cm 전후로 재단되었고, 가로는 47.0~53.3cm로 약간의 크기 차이가 있다. 두께는 1.5~3.3cm로 차이가 크게 나는 편이며, 무게는 1,100~2,344g 정도이다. 이 문집과 함께 판각된 것으로 추정되는 아들 신홍망(申弘望)의 문집인 『고송집』과 거의 같은 크기로 재단되었고, 판심제의 형태 등도 동일한 것으로 볼 때 양 부자의 문집은 같은 시기, 같은 장소에서 판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대체적으로 영남지방의 문집은 문집의 서두에 전체 목록을 편집하고, 기호지방의 문집은 각 권별 목록을 권두에 편집하는데, 『오봉집』은 각 권별 목록을 각 권의 서두에 배치하였으나, 여기서는 목록을 전부 앞으로 모아 설명한다.

책판에는 균열이나 옹이 등으로 판면의 훼손이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하지만, 판면 전체가 마모되어 판독이 불가한 책판들도 다수 있다. 또한 잦은 인출로 계선 등의 마모가 매우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아래는 각 권별 균열, 충해 등 현황을 표시한 것이지만, 이 표시 이외에 매우 미세한 균열 등은 제외한 것도 많이 있다.(좌 : 책판 좌측면 / 우 : 책판 우측면)

<서>
2 : 좌측 마구리~1행까지 균열.

<권1>
5 : 우측 5행의 시 제목 상감 탈락.

<권2>
3 : 판면 전체 글자마모. 판독 불가.
6 : 판면 전체 글자마모. 거의 대부분 판독 불가.
7 : 우측 2~7행 상단부, 훼손으로 글자 판독 불가. 판면 전체의 글자 마모도가 심한 편임.
8 : 판면 상단부의 1/2 정도 글자 판독 불가. 나머지 글자도 마모도가 심하여 판독이 어려움.
9 : 좌측 1행, 글자가 마모되어 판독 불가. 판면 전체 마모도가 심하여 판독이 어려움.
10 : 판면 전체 마모도가 심함.
13 : 판면 하단의 1/3 정도 마모도가 심하여 판독 불가.
22 : 좌측 7행의 주(註)의 20자 탈락.
27 : 좌측 1~2행. 상감 탈락. 1행은 글자가 없는 곳이며, 2행의 주 12자 탈락.
28 : 좌측 중간 마구리~2행까지 균열. 좌측 6행 하단의 우측 계선, 옹이로 훼손.
30 : 좌측 1~3행 상단광곽 훼손.
43 : 좌측 2행 하단의 우측 계선, 옹이로 원형 균열.
44 : 우측 4행 하단, 옹이로 타원 함몰, 균열.

<권3>
26 : 우측 10행의 중간 부분에 옹이로 함몰.

<권4>
19 : 우측 9행 하단에 옹이로 타원 함몰, 우측 계선 훼손.
26 : 좌측 판면의 훼손이 심하여 글자 대부분 판독 불가.
31 : 좌측 8행 하단, 옹이로 함몰.

<권5>
3 : 좌측 6행 하단, 옹이로 원형 함몰.
9 : 우측광곽 하단, 옹이로 훼손. 하어미의 바로 위에 부채꼴 형태의 판각있음.
13 : 좌측 중간 마구리~판심까지 균열.
16 : 우측 중간 마구리~광곽까지 균열.
33 : 우측 8행 중간의 좌측 계선에 옹이.
35 : 좌측 하단 마구리~광곽까지 훼손. 우측 중간 마구리~광곽까지 훼손.

<권7>
8 : 상단과 하단광곽의 일부 훼손.
(24, 부록 1) : 24면 우측1~2행 상감. 상하이엽어미(上下二葉魚尾).
25 : 좌측 1~2행 상단광곽 훼손. 좌측 2행 우측 계선에 작은 원형 구멍. 좌측 4행 하단에 작은 원형 구멍. 뒷면은 글자가 없는 불용판임.

<부록 상>
2 : 하어미 오른쪽 반엽 훼손. 이하 부록은 화구(花口)에 <梧峯集附>, 상어미 아래에 권차인 <上>을 판각하였으며, 상하 어미는 모두 이엽어미로 판각.
12 : 우측 하단 마구리~1행까지 균열.
13 : 우측 중간 마구리~판심제까지 균열.
16 : 좌측 중간 마구리~1행까지 균열. 좌측 하단 마구리~우측 8행까지 미세균열.
17 : 좌측 중간 마구리~광곽까지 균열.

<부록 하>
2 : 좌측 중간 마구리~1행까지 균열. 우측 중간 마구리~1행까지 균열.
7 : 우측 1~4행까지 상감.
8 : 우측 2행 하단에 원형 구멍, 상단 2행과 4행에 원형 함몰. 이는 9면의 상감을 판면에 고정하기 위한 나무못(木釘)이 탈락한 구멍임. 우측 4행 상단 옹이.
9 : 우측 1~4행 상감. 2행 상단에 상감을 고정하기 위한 나무못을 박은 원형 구멍. 상감 부분이 휘어져서 벌어짐. 하단 2행과 4행에 나무못을 박은 원형 흔적.
10 : 좌측 중간 마구리~1행까지 균열. 좌측 2행 하단 상감.
11 : 좌측 중간 마구리~1행까지 균열.

[별집]

<목록>
2 : 우측 4~6행 상감.
4 : 좌측 마구리 훼손. 좌측 중간 마구리~3행까지 균열.

<연보>
2 : 판심제의 장차 위에 옹이로 함몰.
특이사항 :
책판의 외형적인 특이점은 없으며, 잦은 인출로 판면의 계선과 글씨의 훼손이 다수 나타난다. 글자와 계선의 훼손은 잦은 인출의 영향이기도 하지만, 인물 이후 습기 제거 등을 소홀히 하였거나, 습기가 많은 장소에 보관한 탓으로 짐작된다. 마구리에는 각수명이 묵서되어 있으며, 이 각수들이 아들 신홍망의 문집인 『고송집』의 판각에도 함께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각수의 명단은 아래와 같다.

<각수명>
서-1,2 : □學
서-3,4 : □學
목록-1,2 : 孝原
목록-3,4 : 權啓沃
목록-3,7 : 得壽
목록-5,6 : 成仁
목록-5,6 : 金昌祿
목록-5,6 : 達文
목록-7,8 : 宗得
목록-9 : □□
목록-9,10 : □雲
연보-3,4 : 金□□
연보-7,8 : 沈□□
연보-17, 별집목록-5 : 僧喜順
권1-1,2 : 月信
권1-3,4 : 衍□
권1-5,6 : 道明
권1-7,8 : 緯淑
권1-9,10 : 泰楚
권1-11,12 : □□
권1-13,14 : □□
권2-3,4 : 安東欽□
권2-5,6 : 信□
권2-7,8 : □□
권2-9,10 : 官天
권2-11,12 : 爾玉印
권2-13,14 : 能玉
권2-15,16 : □□
권2-17,18 : 信□
권2-19,20 : 衍輝
권2-21,22 : 泰初
권2-23,24 : 宋泰玉
권2-25,26 : □普
권2-27,28 : □□
권2-29,30 : 致奇
권2-31,32 : 太初
권2-33,34 : □□
권2-35,36 : 位權
권2-39,40 : 宋泰玉
권2-41,42 : □普
권2-43,44 : □輝
권2-45,46 : □□
권3-1,2 : 處叔
권3-3,4 : □玉
권3-5,6 : 覺□
권3-7,8 : 月信
권3-9,10 : 法贊
권3-11,12 : 雪英
권3-13,14 : 卓□
권3-15,16 : □□
권3-17,18 : 信湖
권3-19,20 : 金德輝
권3-21,22 : 致奇
권3-23,24 : 安東進□
권3-25,26 : □學
권4-1,2 : 最□
권4-3,4 : □森
권4-5,6 : 國最
권4-7,8 : □□
권4-9,10 : 震寶
권4-11,12 : □玉
권4-13,14 : 位權
권4-15,16 : 宋泰三
권4-17,18 : □貴
권4-19,20 : 泰玉
권4-21,22 : 位權
권4-23,24 : 爾玉印
권4-25,26 : 位權
권4-27,28 : 體喜
권4-29,30 : 得□
권4-31,32 : □□
권4-33,34 : 法贊
권5-1,2 : 覺明
권5-3,4 : 法贊
권5-5,6 : 致□
권5-7,8 : 信明
권5-9,10 : 泰玉
권5-11,12 : 安東進梅
권5-13,14 : 官天
권5-15,16 : 震寶
권5-17,18 : 彩學
권5-19,20 : 卓能
권5-21,22 : 泰楚
권5-23,24 : □輝
권5-25,26 : 石環
권5-27,28 : 卓森
권5-29,30 : 雪英
권5-31,32 : 致名
권5-33,34 : 泰山
권5-35,36 : □□
권5-37,38 : 位權
권5-39,40 : 體喜
권5-41,42 : 體□
권6-1,2 : □□
권6-3,4 : 最□
권6-5,6 : 月信
권6-7,8 : □□
권6-9,10 : □□
권6-11,12 : □□
권6-13,권7-1 : 國最
권7-2,3 : 太草
권7-4,5 : 震寶
권7-6,7 : 宋泰三
권7-8,9 : 爾玉印
권7-10,11 : 最□
권7-12,13 : 進梅
권7-14,15 : 月信
권7-16,17 : 衍輝
권7-18,19 : 法贊
권7-20,21 : 卓能
권7-22,23 : 官天
권7-24,부록 상-1 : 體喜
권7-25,26 : □□
부록 상-2,3 : 太山
부록 상-4,5 : 震寶
부록 상-6,7 : 覺明
부록 상-8,9 : □□
부록 상-10,11 : 能玉
부록 상-12,13 : 位權
부록 상-14,15 : 震梅
부록 상-16,17 : 致奇
부로 상-18,19 : 處叔
부록 상-20, 부록 하-1 : 雪英
부록 하-2,3 : 太草
부록 하-4,5 : □□
부록 하-6,7 : 震梅
부록 하-8,9 : 卓□
부록 하-10,11 : 石環
부록 하-12,13 : □□
부록 하-14,15 : 卓能
발-1,2 : □□
발-3 : 彩學
별집-1,2 : 僧正順
별집-3,4 : 興孫
별집-5,6 : 黃順玉
별집-7,8 : 僧等輝
별집-9,10 : 僧謹佑
별집-11,12 : 和春
별집-13,14 : 鄭永玉
별집-15,16 : 金得壽
별집-19,20 : 義盛
별집-21,22 : 朴□□
별집-25,26 : 徐忠碩
별집-27,28 : 得英
별집 발-1 : 僧壯輝


문집의 말미에는 발문과 후지를 쓴 간지가 남아 있어 문집의 판각 연대를 알려주고 있으며, 별집의 후지를 통하여 별집은 원집과 다른 해에 판각된 것을 알 수 있다.

발-3 : 庚申仲春藏待書院開刊 崇禎紀元後己未秊夏安東權相一謹跋
별집 발-1 : 崇禎後再壬戌天中日宣城金履萬謹識.

別集改編後識 : 歲己酉元月丁丑六世孫體仁謹書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1,2)(3,4) 2
目錄 卷1 (1,2) 1
目錄 卷2 (5,6)(7,8)(9,10) 3
目錄 卷3 (1,2)(3,卷4-4) 2
目錄 卷4 (5,6)(7,8) 2
目錄 卷5 (1,2)(3,4)(5,6) 3
文集後記 (3,卷6-7) 1
目錄 卷7 (1,2)(9,□) 2
年譜 (1,2)(3,4)(5,6)(7,8)(9,10)(11,12)(13,14)(15,16)(17,別集目錄-5) 9
卷1 (1,2)(3,4)(5,6)(7,8)(9,10)(11,12)(13,14) 7
卷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 23
卷3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 13
卷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 17
卷5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 21
卷6 (1,2)(3,4)(5,6)(7,8)(9,10)(11,12)(13,卷7-1) 7
卷7 (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附錄上-1)(25,26) 13
附錄上 (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附錄下-1) 10
附錄下 (2,3)(4,5)(6,7)(8,9)(10,11)(12,13)(14,15) 7
(1,2)(3,□) 2
別集目錄 (1,2)(3,4) 2
別集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 14
別集跋 (1,2)(3,□) 2
서지/해제 작성자 : 박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