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인동장씨 녹리고택 > 가례보의

가례보의(家禮補疑)

조선 후기의 학자인 사미헌(四味軒) 장복추(張福樞, 1815~1900)가 저술한 예서를 새긴 6권 6책 분량으로 총목과 본문 및 별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누락된 책판이 있으며 170판이 남아 있다.
가례보의(家禮補疑)

1  /  168

  • 저자
    장복추(張福樞)(저)
    판심제
    家禮補疑
  • 기탁처
    인동장씨 녹리고택
    서문
  • 발문
    판각시기
    1866년
  • 완본수
    0
    현존수
    168
  • 결락수
    93
인물정보
• 장복추 [張福樞, 순조 15년(1815)~고종 37년(1900)]

저자 장복추(張福樞)는 조선 말기의 유학자로 본관은 인동(仁同) 사람이다. 그의 자(字)는 경하(景遐), 호는 사미헌(四未軒)이다. 생부(生父)는 장굉(張浤)이고, 3세 때 조부의 명에 따라 큰아버지 장관(張寬)에게 입양되었다.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8대손이며, 조부 각헌(覺軒) 장주(張儔)로부터 학업의 기초를 닦으면서 19세기 후반 폭넓은 저술 활동으로 후배 유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선생은 1859년에 유학의 기본 골격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학문 방향을 설정하면서 효(孝), 경(敬), 충(忠), 신(信)의 4가지 기본 덕목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고 스스로 질책하면서 집에 ‘사미헌(四未軒)’이란 당호를 걸고 자기 수양과 성찰을 중시하였다. 그의 학행과 명성이 알려져 1881년 경학(經學)으로 천거되어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 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 절충장군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龍驤衛副護軍) 등의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거절하고 초야에 머물면서 학문 연구에 매진하였다.
학문적으로 이진상(李震相), 곽종석(郭鍾錫), 허훈(許薰) 등과 함께 주리설(主理說)을 발전시켰으며 한말 유학의 전통성 유지와 실천에 힘쓴 대표적 주자학자이다.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를 모시던 우산서원(愚山書院)이 철폐되자 복건(復建)을 앞장서 주청하고, 1884년에 의제개혁(衣制改革)이 시행되자 이를 성토하는 상소를 올렸다.
1895년에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인동 주변의 유림들이 의병을 일으킬 것을 청하자 그는 무모하게 참여하면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화만 자초할 것이라는 신념에 따라 완곡히 사절하였다. 그는 거의 독학으로 공부하여 영남 유학에 일가를 이루었고 계속 초야에 머물며 4백여 명의 제자를 배출하면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문집정보
구성 :
『가례보의』는 상례(常禮) 위주로 주자(朱子)의 『가례(家禮)』를 검토하고 의례(儀禮)의 실천 과정 중에 발생하는 변례(變禮)에 관한 문제를 다양하게 고증, 보완하였다. 장복추의 자서(自序)에 의하면, 주자의 『가례』는 집에서 날마다 사용할 수 있는 상도(常道)이고, 예(禮)의 기준이 되지만 사람의 일이란 단초가 많아서 변례(變禮)가 되기도 하고 변례에서 의심이 생길 수도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이전에 중국과 조선의 여러 학자들이 의심나고 어려운 곳을 변론하여 후세에 남겨 준 주석서가 많이 있지만 그 책이 흩어져 나와서 취하고 버림이 같지 않고 같은 조목이라도 내용이 다른 것이 많아 아무리 능력 있는 사람이라도 급할 때는 제대로 이해하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이것을 돕기 위하여 상례(常禮)와 변례(變禮)로 나누어 편집하고 방국(邦國), 신민(臣民), 향학(鄕學)의 예를 달리 편집하여 붙인다고 하였다.
책의 구성은 책의 맨 앞은 총목(總目)으로 가례서(家禮序), 인용서목(引用書目), 선유성씨(先儒姓氏), 목록(目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의 권1은 통례(通禮), 권2~3은 상례(喪禮), 권4 제례(祭禮)이며, 별집(別集)은 ‘국휼례(國恤禮)’, ‘학례(學禮)’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간역 :
『가례보의』는 사미헌 장복추가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이후 『주자가례』의 보완과 완성을 위해 노력했던 주자학자들의 전통을 계승하여 만든 책이다. 4년간의 노력으로 52세인 1866년에 완성되었는데 처음에는 ‘가례통편’이라고 하였으나 몇 차례 서명을 바꾸어서 ‘보의(補疑)’로 이름하였다.
목판정보
결락정보 :
현재 남아 있는 판은 170판이나 목판의 한 면만을 판각한 경우가 많아 결락판이 정확히 얼마이고 완판이 얼마인지는 가늠하기 어렵다. 전존판의 앞뒤 장차 부여를 참고하여 결락판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총목(總目) : 1/2, 5/6, 7, 9/10, 13/14, 17/18, 19/20, 21, 24, 31, 35/36, 38, 39/40, 43/44, 49/50
권1 : 1/2, 7/8, 13/14, 17/18, 23/24, 35/36, 41/42, 47/48, 51/52, 53/54, 55/56, 59/60, 69/70, 80
권2 : 1/2, 9/10, 11/12, 15/16, 23/24, 25, 49/50, 55/56, 60, 71/72, 79/80
권3 : 9/10, 17/18, 31/32, 43/44, 45/46, 49, 57/58, 61/62, 65/66, 67/68, 79/80, 81/82, 85, 87/88
권4 : 15/16, 23/24, 26, 27/28, 29/30, 31/32, 41, 45/46, 51/52, 55/56, 57/58, 61/62, 63, 65/66, 69/70, 71/72
별집(別集) : 1/2, 3/4, 7/8, 9/10, 11/12, 13/14, 17/18, 19/20, 21/22, 23/24, 35/36, 37/38, 44/45, 46/47, 48/49, 50/51, 53/54, 55/56, 61/62, 63/64, 65/66, 67/68, 69/70
형태적특징 :
책판의 보존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며, 사주쌍변(四周雙邊)의 광곽(匡郭) 안에 총목과, 본문 및 별집은 해서(楷書)로 새겼다.
본문은 11행 20자를 기본으로 하고, 전체 본문에 걸쳐 계선(界線)을 판각하였다. 판심의 양식은 아래위 백구(白口)에 어미(魚尾)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 많으나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 상하향일엽화문어미(上下向一葉花紋魚尾), 무어미(無魚尾) 등이 다양하게 혼합되어 있다.
판수(板首)의 제목은 ‘가례보의(家禮補疑)’이고, 판심의 제목 또한 ‘가례보의(家禮補疑)’로 동일하나 본문을 제외한 곳에서는 ‘가례보의총론(家禮補疑總論)’, ‘가례보의서(家禮補疑敍)’, ‘가례보의서목(家禮補疑書目)’, ‘가례보의성씨(家禮補疑姓氏)’, ‘가례보의목록(家禮補疑目錄)’, ‘가례보의별집(家禮補疑別集)’이라 하여 차별을 두었다.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0×50㎝ 내외로 비교적 고른 편이고, 반곽(半廓)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2×19㎝로 거의 일정하다.
반면, 판목의 두께는 얇은 판은 1.3㎝에서 두꺼운 판은 3.5㎝에 달해 2㎝ 이상의 편차가 발생하여 두께의 드나듦이 큰 편이다. 평균적인 두께는 2㎝ 내외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책판의 무게 또한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2.2㎏이 넘어서 비교적 차이가 크다. 평균적인 목판의 무게는 1.5㎏ 내외이다.
한편, 판목의 보존 상태는 전반적으로는 양호하지만, 일부 판에서는 판의 균열과 마구리의 균열 및 부식이 진행되었다. 판의 균열이 발생한 판은 총목(總目)의 제15/16장, 총목의 제32/34장, 권1의 제45/46장, 권1의 제73/74장, 권2의 제53/54장, 권2의 제67/68장, 권3의 제33/34장, 권3의 제73/74장, 권3의 제86장, 권4의 제11/12장, 권4의 제19/20장 등이 있다. 본문을 새긴 판에서 충해나 누습으로 인한 판의 부식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마구리의 부식이 진행된 판으로는 총목의 제47/48장, 권1의 제101/102장, 권2의 제7/8장, 권2의 제39/40장, 권3의 제7/8장, 별집의 제29/30장 등이 있다.
이외에도 마구리의 형태와 묵서 기록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책판 제작 시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의 결합 형태는 나무못, 즉 목심을 가운데에 한 개 또는 두 개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일관되게 제작하였다. 그리고 판면이 마구리에 고정되는 부분은 마구리의 좌우측 끝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구리의 홈 크기와 본문판이 결합되는 부분이 맞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마구리와 판면을 결합한 뒤 목심을 마구리의 좌우측 바깥 부분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보강하여 흔들림을 방지하였다.
마구리의 형태는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크기도 비교적 균정한 편이며, 본문보다 5㎝ 내외로 크게 제작되어 본문을 새긴 판을 견고하게 지탱하고 있다. 그리고 마구리의 앞면이나 바깥쪽에는 문집명과 책판이 해당하는 장차를 묵서(墨書)해 두었다.
한편, 전존하는 목판 중 단면으로 판각된 것은 권1의 제27장, 권1의 제28장, 권1의 제79장, 권2의 제19장, 권2의 제21장, 권2의 제26장, 권2의 제45장, 권2의 제46장, 권3의 제86장, 권3의 제89장, 권4의 제25장, 권4의 제42장, 권4의 제75장의 모두 12판이다.
특이사항 :
전존하는 목판 중 각 권의 목판의 전후에 연속되지 않은 다른 장차와 함께 판각한 것이 있다. 권1의 제11장과 권3의 제30장, 권1의 제12장과 권2의 제22장, 권1의 제26장과 권2의 제20장, 권1의 제61장과 권3의 제50장, 권1의 제75장과 권4의 제38장, 권1의 제76장과 81장, 권1의 제82장과 권4의 제37장, 권1의 제85장과 권2의 제73장, 권2의 제59장과 권3의 제25장, 권3의 제26장과 권2의 제74장, 권3의 제29장과 발문의 제1장이 그러한 예이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總目 (3,4)(8,序-1)(11,12)(15,16)(22,23)(25,26)(27,28)(29,30)(32,34)(33,37)(41,42)(45,46)(47,48)(51,52)(53,54)(55,56) 16
卷1 (3,4)(5,6)(9,10)(11,卷3-30)(12,卷2-22)(15,16)(19,20)(21,22)(25,42)(26,卷2-20)(27,空)(28,空)(29,30)(31,32)(33,34)(37,38)(39,40)(43,44)(45,46)(49,50)(57,58)(61,卷3-50)(62,86)(63,64)(65,66)(67,68)(71,72)(73,74)(75,卷4-38)(76,81)(77,78)(79,空)(82,卷4-37)(83,84)(85,卷2-73)(87,88)(89,90)(91,92)(93,94)(95,96)(97,98)(99,100)(101,102) 43
卷2 (3,4)(5,6)(7,8)(13,14)(17,18)(19,空)(21,空)(26,空)(27,28)(29,30)(31,32)(33,35)(34,36)(37,38)(39,40)(41,42)(43,44)(45,空)(46,空)(47,48)(51,52)(53,54)(57,58)(59,卷3-25)(61,62)(63,64)(65,66)(67,68)(69,70)(75,76)(77,78)(81,82)(83,84)(85,86)(87,88)(89,90)(91,92)(93,94)(95,96) 39
卷3 (1,2)(3,4)(5,6)(7,8)(11,12)(13,14)(15,16)(19,20)(21,22)(23,24)(26,卷2-74)(27,28)(29,跋-1)(33,34)(35,36)(37,38)(39,40)(41,42)(47,48)(51,52)(53,54)(55,56)(59,60)(63,64)(69,70)(71,72)(73,74)(75,76)(77,78)(83,84)(86,空)(89,空) 32
卷4 (1,2)(3,4)(5,6)(7,8)(9,10)(11,12)(13,14)(17,18)(19,20)(21,22)(25,空)(33,34)(35,36)(39,40)(42,空)(43,44)(47,48)(49,50)(53,54)(59,60)(64,76)(67,68)(73,74)(75,空) 24
別集 (5,6)(15,16)(25,26)(27,28)(29,30)(31,32)(33,34)(39,40)(41,42)(43,44)(57,58)(59,60)(71,72)(73,74) 14
總目 (3,4)(8,序-1)(11,12)(15,16)(22,23)(25,26)(27,28)(29,30)(32,34)(33,37)(41,42)(45,46)(47,48)(51,52)(53,54)(55,56) 16
卷1 (3,4)(5,6)(9,10)(11,卷3-30)(12,卷2-22)(15,16)(19,20)(21,22)(25,42)(26,卷2-20)(27,空)(28,空)(29,30)(31,32)(33,34)(37,38)(39,40)(43,44)(45,46)(49,50)(57,58)(61,卷3-50)(62,86)(63,64)(65,66)(67,68)(71,72)(73,74)(75,卷4-38)(76,81)(77,78)(79,空)(82,卷4-37)(83,84)(85,卷2-73)(87,88)(89,90)(91,92)(93,94)(95,96)(97,98)(99,100)(101,102) 43
卷2 (3,4)(5,6)(7,8)(13,14)(17,18)(19,空)(21,空)(26,空)(27,28)(29,30)(31,32)(33,35)(34,36)(37,38)(39,40)(41,42)(43,44)(45,空)(46,空)(47,48)(51,52)(53,54)(57,58)(59,卷3-25)(61,62)(63,64)(65,66)(67,68)(69,70)(75,76)(77,78)(81,82)(83,84)(85,86)(87,88)(89,90)(91,92)(93,94)(95,96) 39
卷3 (1,2)(3,4)(5,6)(7,8)(11,12)(13,14)(15,16)(19,20)(21,22)(23,24)(26,卷2-74)(27,28)(29,跋-1)(33,34)(35,36)(37,38)(39,40)(41,42)(47,48)(51,52)(53,54)(55,56)(59,60)(63,64)(69,70)(71,72)(73,74)(75,76)(77,78)(83,84)(86,空)(89,空) 32
卷4 (1,2)(3,4)(5,6)(7,8)(9,10)(11,12)(13,14)(17,18)(19,20)(21,22)(25,空)(33,34)(35,36)(39,40)(42,空)(43,44)(47,48)(49,50)(53,54)(59,60)(64,76)(67,68)(73,74)(75,空) 24
別集 (5,6)(15,16)(25,26)(27,28)(29,30)(31,32)(33,34)(39,40)(41,42)(43,44)(57,58)(59,60)(71,72)(73,74) 14
서지/해제 작성자 : 임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