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전의이씨 난졸재문중 > 난졸재선생문집

난졸재선생문집(懶拙齋先生文集)

조선 후기의 문신 난졸재(懶拙齋) 이산두(李山斗, 1680-1772)의 시문집 4권 분량을 새긴 책판이다. 서문을 판각한 5판을 비롯하여 목록과 본문을 새긴 책판 60판이 완질을 갖추어 남아 있다.
난졸재선생문집(懶拙齋先生文集)

1  /  60

  • 저자
    이산두(李山斗)(저)
    판심제
    懶拙齋先生文集
  • 기탁처
    전의이씨 난졸재문중
    서문
    柳台佐(1833)
  • 발문
    판각시기
    1833년
  • 완본수
    60
    현존수
    60
  • 결락수
    0
인물정보
이산두(李山斗) [숙종 6년(1680) - 영조 48년(1772)]

이산두(李山斗)의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자앙(子昻), 호는 난졸재(懶拙齋)이다. 증조부는 이령(李苓)이고, 조부는 이명길(李鳴吉)이며 아버지는 이필(李泌)이다. 어머니는 광주안씨(廣州安氏)로 안이(安儞)의 딸이다.

경상북도 안동(安東)에서 태어나, 가일(佳日) 권징(權憕)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숙종 40년(1714) 생원(生員) 시험에서 3등으로 합격하였고, 영조 8년(1732) 문과(文科)에 합격하여 전적(典籍)과 예조정랑(禮曹正郞)을 역임하였다.

영조 11년(1735) 12월에는 감포현감(藍浦縣監)이 되었다. 이 때 전세(田稅)와 양정(良丁)의 문란과 폐단을 시정하고, 군액(軍額)을 확충시켰다. 즉, 감포현감으로서 난졸재는 관아에서 쓰기 위한 곡식을 정해진 것보다 많이 거두는 폐해를 중단시켰고, 부유한 집안의 자손들이 권세가에 빌붙어 군액에서 빠져 있던 것을 일일이 찾아서 채우는 등 당시 폐정(弊政)을 고치는데 힘썼다.

영조 13년(1737) 단구촌(丹邱村)에 은거할 때에 예조정랑과 사예(司藝)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영조 32년(1756)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가 내려졌으며, 이듬 해(1758년)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가 되었다. 영조 46년(1770)에는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올랐다. 그 뒤 영조 48년(1772) 4월 20일에 세상을 떠나니, 향년 93세였다. 그의 부음(訃音)에 왕이 직접 제문(祭文)을 짓고,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고 전한다.

난졸재는 벼슬에 나아가서는 치민(治民)의 본보기가 되었고, 관직에서 물러나서는 청빈하고 자적한 생활을 실천하여 선비들의 표상이 되었다. 또한, 실천궁행(實踐躬行)에 힘썼으되, 글은 많이 짓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세히 보기
문집정보
구성 :
문집에 수록된 내용을 보면, 권두에는 류이좌의 서문이 7장 첨부되었다. 그리고 권1에는「영묘대왕전교(英廟大王傳敎)」와 「기축도상시(己丑圖像時)」등 시(詩) 45편,「나(난)졸찬(懶拙贊)」등 찬(贊) 7편 및 「사장례원판결사소(辭掌隷院判決事疏)」, 「재사판결사소(再辭判決事疏)」등 소(疏)가 6편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답권태중(答權台仲)」, 「여권방숙(與權方叔)」등 서(書) 14편과 「김장필행뇌사(金丈必行誄辭)」등 뇌(誄) 2편 및 「윤백흠덕훈애사(尹伯欽德勛哀辭)」등 애사(哀辭) 4편이 실려 있다.

권3에는「홍주습조시제기문(洪州習操時祭旗文)」과 「용연기우문(龍淵祈雨文)」등 제문(祭文) 25편과 묘갈명(墓碣銘) 1편이 수록되었다. 권4에는 행장(行狀)과 화상찬(畵像讚), 만사(輓詞) 14편, 어제사제문(御製賜祭文)과 기타 제문 15편이 실려 있다.

이렇게 수록된 작품들에는 영남 사림의 으뜸이었던 난졸재의 풍격과 고상한 절개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간역 :
난졸재(懶拙齋) 이산두(李山斗)는 생전에 실천하는 것을 우선하여, 많은 글을 남기지는 않았다. 『난졸재선생문집(懶拙齋先生文集)』의 간행 경위에 대하여 순조 33년(1833)에 가선대부(嘉善大夫) 류이좌(柳台佐)가 작성한 서문의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그 서문에 따르면, 난졸재 선생은 어려서부터 일평생 깨끗한 풍격과 고상한 절개를 품어 영남의 사종(師宗)이 되었다. 하지만 선생이 사거한 뒤 세월이 흐르면서 그가 지은 문장이 소산(疏散)되어, 선생의 기상을 느낄 수 없게 된 것이 안타까웠다. 그리고 많은 사림(士林)들 또한 후대를 위하여 그의 문장이 남겨지기를 갈망하였던 바, 초고(草稿)를 간행하고자 도모하였다. 이에 유태좌(류이좌)는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 문집 간행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으며, 서문 또한 자신이 작성하였으니, 그 시점은 순조 33년(1833) 12월이었다.

문집에는 발문(跋文)이나 간행 참여자 및 판각 경위를 알려주는 지문(識文) 등이 들어 있지 않아, 간행 사업을 주도한 인사와 구체적인 판각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문집을 새긴 책판이 안동(安東)의 풍산(豊山) 난졸재문중(懶拙齋門中)에 보관되어 있었으므로, 지역에서 후손들에 의하여 간행 사업이 도모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자세히 보기
목판정보
결락정보 :
『난졸재선생문집(懶拙齋先生文集)』을 새긴 60판이 남아 있고, 이 책판들을 본문 내용이 온전한 인본과 비교해 보면, 누락된 판이 없이 완질을 갖추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목록의 제3장과 권1의 제17장 부분은 판면이 크게 훼손되어, 대부분의 내용이 판독되지 않는다.
형태적특징 :
『난졸재선생문집(懶拙齋先生文集)』은 19세기 전반기인 순조 33년(1833)에 난졸재(懶拙齋)가 세거하던 안동 풍산 일대에서 후손들에 의하여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판목의 상태는 몇몇 판을 제외하고 판면이나 본문의 글자 또한 큰 마멸 없이 온전하게 보존된 상태이고, 판면의 형태나 마구리의 재단도 매우 일정하게 이루어져, 책판이 제작 시부터 꼼꼼하게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책판의 기본적인 체제와 형식을 살펴보면, 서문 7장은 사주쌍변(四周雙邊)에 계선(界線)을 두고, 초서(草書)의 대자(大字) 형식으로 판각하였다. 글자의 배치는 5행 10자를 기본으로 한두 글자 드나듦이 있고, 판심(版心)에 새겨진 제목은 ‘난졸재선생문집서(懶拙齋先生文集序’이다.

그리고 본문을 새긴 판의 양식은 사주쌍변의 광곽(匡郭) 안에 계선을 새겼고, 글자의 배치는 10행 19자의 해서체(楷書體)로 일정하게 판각하였다. 또한 판심에는 아래위는 백구(白口)의 형태로 되어 있고, 어미(魚尾)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로 일정하다. 판심의 가운데에 새겨진 제목은 ‘난졸재선생문집(懶拙齋先生文集)’이다.

한편,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를 살펴보면, 세로×가로는 21×50cm 내외로 비교적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였고, 본문을 새긴 반곽의 크기는 20×17cm 내외로 균일한 편이다.

반면, 판목의 두께는 얇은 판의 경우 1.6cm에서 두꺼운 판은 3.5cm로 두 배 이상의 차이가 난다. 이에 따라 책판의 무게도 가벼운 것은 1.4kg에서 무거운 판은 2.5kg에 달해 편차가 큰 편이다.

또한,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면의 결합 방식은 본문을 새긴 판면이 마구리의 좌우측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일관되게 제작되었다. 이 때 본문판과 마구리의 고정 방식은 좌우측 마구리의 가운데 부분에 두 개의 나무못을 박아 고정하였다. 나무못을 쓰고 있어, 못으로 인한 책판의 갈라짐 현상도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그 밖에 마구리의 형태는 본문보다 3-5cm 아래위로 크게, 비교적 균일하게 제작되었고, 단면은 일부 판을 제외하고 모두 정사각형 형태로 일정하게 재단되었다.

더불어 마구리의 바깥쪽에는 책판 관련 서지 사항을 묵서(墨書)해 두었다. 서지 사항의 묵서 표기 방식은 한문으로 썼으며, ‘난졸재집(懶拙齋集) 권이(卷二) 오육장(五六丈)’, ‘난졸재집(懶拙齋集) 권삼(卷三) 삼사장(三四丈)’ 또는 ‘난졸재집(懶拙齋集) 권삼(卷三) 칠팔장(七八丈) 승등휘(僧等輝)’ 등과 같다.

특기할 점은 이러한 묵서 기록의 경우 대개 책판의 한쪽 마구리에 쓰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책판의 경우에는 모두 양쪽 마구리의 바깥 편에 필서해 두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책판을 새길 당시부터 판목 관리의 편의를 도모한 조치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판명(板名)과 권차(卷次)와 장차(張次)는 모든 판에 묵서되어 있으나, 일부 판에서는 닳거나 마멸되어 판독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더불어 책판을 새긴 각수 이름을 기재한 판과 기재하지 않은 판이 공존한다. 즉, 각수명(刻手名)을 기재하여 인명이 판독되는 판으로 51판이 있고, 나머지 9판에는 새긴 이의 이름이 기재되지 않았다.

각수의 이름은 모두 한문으로 기재되었으며, ‘최경인(崔敬仁)’, ‘전만세(田萬世)’, ‘진득용(秦得龍)’, ‘김계순(金啓順)’ 등 모두 8명이다. 이들의 이름은 적게는 한 판에서 많게는 8판까지 나타나고 있어서, 판각 시 각수들의 참여 실태를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필서된 인명 중에 ‘승등휘(僧等輝)’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각수로서 일반인뿐만 아니라 승려도 참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유가(儒家)의 문집을 판각하는 일이기는 하지만, 승려들이 많이 참여하였다. 특히, 19세기 이후 광흥사(廣興寺) 등 안동 지역의 사찰에서는 물력(物力)과 각수승(刻手僧) 등 제반 인력을 갖추고, 지역의 유가 문집을 활발히 새겨낸 기록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 밖에 판각의 형식상 특기할 사실로 ‘영종대왕(英宗大王)’ 또는 ‘성상(聖上)’, ‘전왈(傳曰)’ 등 임금과 관련된 용어에서는 어김없이 대두법(擡頭法)을 적용하여 다른 글자보다 한 글자 위로 높게 새겼다는 점이다.

한편, 전존 책판은 양면 판각을 원칙으로 새겼던 것으로 보이지만, 서문의 제5장, 서문 제6장, 목록 제7장, 권1의 제23장, 권3의 제5장, 권3의 제6장 이상 6판은 단면 판각되었다.
특이사항 :
책판의 제작 시기는 순조 33년(1833)이지만, 제작된 시기에 비하여 판의 상태는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 있다. 다만, 일부 판에서는 충해와 부식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예컨대, 전존 책판 중 마구리에 금이 가거나 눈에 띄는 균열이 발생한 판은 서문 제6장, 권3의 제7/8장, 권3의 제11/12장, 권3의 제15/16장, 권4의 제1/2장이 있다. 또한 본문의 판면이 갈라진 현상이 보이는 판은 권2의 제15/16장, 권3의 제5장이 있다. 그리고 권1의 제7/8장과 권4의 제19/20장은 목판이 뒤틀리어 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권1의 제23장의 좌측 마구리에는 충해로 인한 마구리의 부식이 진행되었고, 권4의 제29/30장의 우측 마구리 상단은 충격으로 떨어져 나가기도 하였다.

그 밖에 목록의 제4장을 새긴 부분과 권1의 제17장을 새긴 판은 충해로 인한 판면의 대부분이 부스러지고 열화되었다. 이는 마찰에 의한 손상이라기보다 전형적인 충해에 의한 나무의 부식 현상이다. 나무벌레는 판면과 마구리를 함께 손상시켰으며, 이러한 충해에 의한 부식은 책판으로 재단된 나무의 수종(樹種)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한편, 권1의 제23장을 새긴 판은 단면 판각으로 되어 있는데, 가운데 상단부에 15cm 가깝게 움푹 패어져 나갔다.

또한 목록의 제7장을 새긴 판의 뒷부분은 계선이 파져 있고, 내용의 일부도 새겨져 있으나, 정확한 권차와 장차가 확인되지 않는다. 각수의 실수 또는 중복으로 인하여 전체 내용을 삭제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1,2)(3,4)(5,空)(6,空)(7,卷2-17) 5
目錄 (1,2)(□,4)(5,6)(7,卷2-17) 4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8)(19,20)(21,22)(23,空) 12
卷2 (1,2)(3,4)(5,6)(7,8)(9,10)(11,12)(13,14)(15,16) 8
卷3 (1,2)(3,4)(5,空)(6,空)(7,8)(9,10)(11,12)(13,14)(15,16)(17,18)(19,20)(21,22) 12
卷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19
(1,2)(3,4)(5,空)(6,空)(7,卷2-17) 5
目錄 (1,2)(□,4)(5,6)(7,卷2-17) 4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8)(19,20)(21,22)(23,空) 12
卷2 (1,2)(3,4)(5,6)(7,8)(9,10)(11,12)(13,14)(15,16) 8
卷3 (1,2)(3,4)(5,空)(6,空)(7,8)(9,10)(11,12)(13,14)(15,16)(17,18)(19,20)(21,22) 12
卷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19
(1,2)(3,4)(5,空)(6,空)(7,卷2-17) 5
目錄 (1,2)(□,4)(5,6)(7,卷2-17) 4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8)(19,20)(21,22)(23,空) 12
卷2 (1,2)(3,4)(5,6)(7,8)(9,10)(11,12)(13,14)(15,16) 8
卷3 (1,2)(3,4)(5,空)(6,空)(7,8)(9,10)(11,12)(13,14)(15,16)(17,18)(19,20)(21,22) 12
卷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19
(1,2)(3,4)(5,空)(6,空)(7,卷2-17) 5
目錄 (1,2)(□,4)(5,6)(7,卷2-17) 4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8)(19,20)(21,22)(23,空) 12
卷2 (1,2)(3,4)(5,6)(7,8)(9,10)(11,12)(13,14)(15,16) 8
卷3 (1,2)(3,4)(5,空)(6,空)(7,8)(9,10)(11,12)(13,14)(15,16)(17,18)(19,20)(21,22) 12
卷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19
(1,2)(3,4)(5,空)(6,空)(7,卷2-17) 5
目錄 (1,2)(□,4)(5,6)(7,卷2-17) 4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8)(19,20)(21,22)(23,空) 12
卷2 (1,2)(3,4)(5,6)(7,8)(9,10)(11,12)(13,14)(15,16) 8
卷3 (1,2)(3,4)(5,空)(6,空)(7,8)(9,10)(11,12)(13,14)(15,16)(17,18)(19,20)(21,22) 12
卷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19
(1,2)(3,4)(5,空)(6,空)(7,卷2-17) 5
目錄 (1,2)(□,4)(5,6)(7,卷2-17) 4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8)(19,20)(21,22)(23,空) 12
卷2 (1,2)(3,4)(5,6)(7,8)(9,10)(11,12)(13,14)(15,16) 8
卷3 (1,2)(3,4)(5,空)(6,空)(7,8)(9,10)(11,12)(13,14)(15,16)(17,18)(19,20)(21,22) 12
卷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19
(1,2)(3,4)(5,空)(6,空)(7,卷2-17) 5
目錄 (1,2)(□,4)(5,6)(7,卷2-17) 4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8)(19,20)(21,22)(23,空) 12
卷2 (1,2)(3,4)(5,6)(7,8)(9,10)(11,12)(13,14)(15,16) 8
卷3 (1,2)(3,4)(5,空)(6,空)(7,8)(9,10)(11,12)(13,14)(15,16)(17,18)(19,20)(21,22) 12
卷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19
서지/해제 작성자 : 임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