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진성이씨 낙금헌파 > 낙금헌집(구판)

낙금헌집(구판)(樂琴軒集(舊板))

『낙금헌선생문집(樂琴軒先生文集)』은 조선 중기의 학자 낙금헌(樂琴軒) 이정백(李庭栢)의 시문집으로,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낙금헌집(구판)(樂琴軒集(舊板))

1  /  8

  • 저자
    이정백(李庭栢)(저)
    판심제
    樂琴軒先生文集
  • 기탁처
    진성이씨 낙금헌파
    서문
    柳氵奎 (1805), 李秉遠(1836)
  • 발문
    柳致明(1855), 李晩燾(1898)
    판각시기
  • 완본수
    45
    현존수
    8
  • 결락수
    37
인물정보
이정백(1553-1600)의 자는 여직(汝直), 호는 낙금헌(樂琴軒)이며 본관은 진성(眞城)이다.
안동 두루실(周村)에서 출생하였다. 부친 이희안(李希顔)의 3년 상을 마친 후 도산으로 들어가 재종증조인 이황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이때 김성일․남치리․권호문 등 여러 문인들과 『이학통록(理學通錄)』을 강론하고 역동서원에서 열린 시회(詩會)에 참가하여 학문의 폭을 크게 넓혔다. 36세 때인 1588년(선조 21)에 사마시에 응시하여 진사가 되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동지방을 중심으로 의병을 일으켜 의병대장에 추대되었다. 배용길(裵龍吉) 등과 함께 1,000여명의 의병을 이끌고 예천 용궁으로 진격하여 왜적을 격퇴하는 무공을 세웠고 이듬해에는 다시 밀양과 응천 지방을 전전하면서 왜적을 격파했다. 작산사(鵲山祠)에 제향 되었다.
자세히 보기
문집정보
구성 :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 보관되어 있는『낙금헌선생문집(樂琴軒先生文集)』은 판본이 뒤섞여 있어 정확한 구성을 목판을 통해서는 알아보기 힘들게 되어 있다. 본래 이 문집은 처음 문집이 만들어진 이후 어느 곳에서도 문집이 전해지는 것이 없었다. 그러다 20세기 초에 문집이 발견되었고, 이후 종손가에서 문집 간행 이후 발견된 유문들을 모아 문집을 새로 판각하였다고 한다. 이에 후대에 발견된 문집과 새로 판각하여 만든 문집 사이에는 내용상 차이 나는 점이 많이 보인다. 현존하는 문집을 통해서 살펴본 문집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서두에는 류규(柳 氵+奎)와 이병원(李秉遠)이 쓴 서문이 있고, 목록과 권1에 시(詩), 가(歌), 제문(祭文)이 수록되어 있다. 권2는 부록(附錄 )으로, 부제우증차(附儕友贈次), 만(輓), 제문(祭文), 봉안문(奉安文), 상향축문(常享祝文), 이안축문(移安祝文), 유사(遺事), 가장(家狀), 행장(行狀), 묘갈명(墓碣銘)이 있고, 그 뒤에 6세 손 이유백(李有白)과 류치명(柳致明)이 쓴 발문이 있다. 추록(追錄)으로는 유고(遺稿)와 부록으로 습유(拾遺), 묘지명(墓誌銘)이 있으며, 김흥락(金興洛)과 이만도(李晩壽)의 발문과 유묵(遺墨)이 첨부되어 있다.
간역 :
자세히 보기
목판정보
특이사항 :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보관된 목판은 형태상으로는 2종류의 목판이 혼재되어 있다. 초간본 추측되는 목판 A와 최근에 새로 판각한 목판 B로 구분된다. 목판 A의 서문 2장과 목판 B의 서문은 서로 연결된다. 즉 목판 B에 있는 류규(柳氵+奎)의 서문은 목판 A의 서문 2장(李秉遠의 서문)의 뒤에 서로 연결되는 판이다. 또한 목판 A에 남아 있는 세계도(世系圖) 5장은 문집에서도 나오지 않는 내용이며, 목판 B의 목록과 문집 안의 내용이 문집과는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즉 시(詩)의 경우 문집에서는 ‘5언절구’니, ‘7언절구’니 하는 시의 종류를 구분하고 있는 반면에 목판 B에는 그러한 구분없이 전체를 <詩>로 합쳐 놓았고, 내용도 문집에 없는 시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다른 부분에서도 문집에는 <輓>이라 한 것을 목판 B에서는 <輓詞>라 하는 등 부분적으로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목판에는 류치명의 발문 이후에 나오는 추록(追錄)은 한 장도 남아있지 않다.
특히 세계도가 현재의 문집에 전혀 보이지 않는 점 등은 이 문집이 다른 이본(異本)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심케 하는 부분이다.
문집의 가장(家狀) 9면은 목판 A의 내용과 동일한데, 문집에는 두주(頭註)의 내용이 남아 잇고, 목판에는 그 부분이 탈락된 흔적이 있다. 그 내용은 9면 6행과 7행에 걸쳐 나오는 <未及摳衣云云無見於草本恐是後來傳錄之誤諸子錄慈附于下以備參攷>이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目 錄 0
遺 集 序 (1,2)(3,4) 2
卷 1 0
卷 2 (9,10) 1
世系圖 (1,2)(3,4)(5,6)(7,8)(9,10) 5
後 跋 0
追 錄 0
서지/해제 작성자 : 목판연구소 박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