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예안이씨 고산종가 > 하지집

하지집(下枝集)

조선 후기의 학자 하지(下枝) 이상진(李象辰, 1710-1772)의 시문집 7권 분량을 새긴 책판이다. 정범조(丁範祖)의 서문을 판각한 1판을 비롯하여 목록과 본문을 새긴 책판 43판이 남아 있다.
하지집(下枝集)

1  /  43

  • 저자
    이상진(李象辰)(저)
    판심제
    下枝集
  • 기탁처
    예안이씨 고산종가
    서문
    丁範祖(1793)
  • 발문
    판각시기
    1793년
  • 완본수
    128
    현존수
    43
  • 결락수
    85
인물정보
이상진(李象辰) [숙종 36년(1710) - 영조 48년(1772)]

이상진(李象辰)의 본관은 전의(全義)이고, 자는 약천(若天), 호는 하지(下枝)이다. 아버지는 이재기(李載基)이며, 어머니는 동래정씨(東萊鄭氏)로 지일(之鎰)의 딸이다. 가문의 세거지인 안동(安東) 풍산현(豊山縣)에서 태어났다. 『고산선생문집(孤山先生文集)』의 저자로 안동의 낙빈정사(洛濱精舍)에 봉안되고 이조판서에 추증된 고산(孤山) 이유장(李惟樟)이 증조부이다.

고산은 측실과의 사이에 아들인 이봉기(李鳳紀)를 두었으나, 정실에게는 아들이 없었다. 그리하여 맏형인 이유량(李惟樑)의 둘째아들인 이봉조(李鳳朝)를 후사로 맞이하였으나, 그도 후사 없이 일찍 죽었다. 그래서 다시 이유량의 첫째아들인 이재기(李載基)를 후사로 삼게 되었으니, 그가 바로 하지의 아버지이다.

하지는 일찍이 병곡(屛谷) 권구(權榘)를 찾아가 배움을 청하였으며, 권상일(權相一)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영조 23년(1747)에는 38세의 나이로 눌은(訥隱) 이광정(李光庭)에게 가르침을 받기도 하였다.

그 뒤 영조 32년(1756)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생원(生員)이 되었으나, 대과(大科)에는 급제하지 못하였다. 이후로는 향리에 머물며, 고산이 시작했던 족보의 편찬과 후진 양성에 힘을 쏟았다. 영조 43년(1767) 모친상을 당해서는 질대(絰帶)를 풀지 않고 조석제전(朝夕祭奠)에 반드시 참석하는 등 효성을 다해 3년상을 치렀다.

말년에는 증조부인 고산의 유집(遺集)을 간행하기 위해 원고를 수습하고 문장을 교정하는 등 문집 출판에 힘썼으나 끝내 이루지 못하고, 『고산선생문집』이 간행되기 3년 전인 영조 48년(1772) 별세하였다. 교유하던 사우로는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등이 있다.
자세히 보기
문집정보
구성 :
문집의 구성 및 수록 내용을 살펴보면, 권1에 부(賦) 1편, 시(詩) 66수가 실려 있다. 권2에는 시 80수, 권3에는 서(書) 49편이 수록되었다. 권4에 잡저(雜著) 6편, 서(序) 7편, 기(記) 9편과 권5에는 발(跋) 10편, 잠(箴) 1편, 명(銘) 4편, 제문(祭文) 21편이 편성되었다. 권6에는 제문 12편, 행장(行狀) 1편, 묘갈명(墓碣銘) 1편이 있고, 마지막 권7은 유집(遺集)의 부록(附錄)으로 행장 1편과 만사(輓詞) 12수, 제문 10편이 수록되었다.

수록된 글 중에서 권4의 잡저에 편성된 몇 가지 작품들은 특기할 만하다. 예컨대, 권4의「위갈봉김공송계이공정순상문(爲葛峰金公松溪李公呈巡相文)」은 임진왜란 중 군량미 조달에 큰 공을 세운 지역 인물들에 대한 내용이다. 즉, 안동의 진사 김득연(金得硏)과 참봉 이형남(李亨男)은 전란 시 식량 조달에 이바지한 바가 크므로, 나라에서 은전(恩典)을 내려 주도도록 관찰사에게 주달(奏達)을 건의한 글이다. 또한, 「사읍지찬술도감문(辭邑誌撰述都監文)」은 읍지(邑誌)를 찬술하고 소견을 밝힌 글로, 감영(監營)에서 이광정(李光庭)을 추록(追錄)한 데 대해 인물의 등재가 관직에 치우친 면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그 밖에 「통여지승람수정소문(通輿地勝覽修正所文)」은 만운리(晩雲里)에 거주한 송공(宋公)의 사적이 누락되어 있으니 이를 추록하도록 통문(通文)을 보낸 내용이고, 「통합천사림문(通陜川士林文)」이나「병산서원통각원문(屛山書院通各院文)」등의 통문은 좋은 행실을 권장하고 천양(闡揚)하는 내용의 글이다.
간역 :
『하지집(下枝集)』은 고산(孤山) 이유장(李惟樟)의 증손자인 하지(下枝) 이상진(李象辰)의 시문을 모아서 편찬한 것으로, 모두 7권 3책의 분량이다. 하지의 사후 22년이 지난 시점에 동생인 이홍진(李弘辰)이 간역 사업을 추진하여, 정조 18년(1793)에 마무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집(下枝集)』의 판각 경위는 정범조(丁範祖)가 이홍진의 부탁을 받고 정조 18년에 작성한 서문(序文)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즉, 하지는 고산의 문손(聞孫)으로, 그의 학문과 의기는 산남(山南)의 사표(師表)가 되었다. 또한, 그의 학문은 우담(愚潭) 정시한(丁時翰), 식산(息山) 이만부(李滿敷), 밀암(密菴) 이재(李栽)의 기풍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그러므로 하지의 문장은 마땅히 널리 펴 세상에 전하고 후손에게 남겨 주어야 할 것인 바, 권수(卷首)에 이와 같은 뜻을 남긴다 하였다.

다만, 정범조의 서문에서는 간역 작업이 이루어진 장소가 명시되지 않았으나, 하지가 세거하면서 임종을 맞이한 풍산(豊山) 지역 일대의 문중(門中)을 중심으로 판각 작업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자세히 보기
목판정보
결락정보 :
전존하는 판본으로 『하지집(下枝集)』은 7권 3책으로 편성되어, 개인 문집으로는 비교적 많은 분량이다. 그에 반해 이를 새긴 책판의 2/3 가량이 일실되어서, 남아 있는 판은 43판에 불과하다.

현존 책판의 결락 현황을 권차 별로 살펴보면, 양면 판각을 기준으로 서문은 1판과 목록 2판이 결락되었다. 또한, 권1은 4판, 권2는 12판, 권3은 12판, 권4는 14판, 권5는 15판, 권6은 10판, 권7은 15판으로 모두 85판이 결락되었다.

이처럼 결락 판이 많은 것은 새긴 뒤 비교적 오랜 시간이 지났으며, 보관상의 문제도 있었을 것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점은 이 판으로 찍은 인본이 한국국학진흥원 등 몇몇 기관에 완전하게 소장되어 있어서, 책판의 원형을 추정해 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형태적특징 :
『하지집(下枝集)』 책판의 판각 작업은 18세기 후반, 정조 18년(1793) 하지(下枝) 이상진(李象辰)의 동생인 이홍진(李弘辰)에 의하여 추진되었고, 새겨진 장소는 하지가 세거하던 풍산(豊山) 일대로 추정된다.

문집 판은 새겨진 시점이 아주 오래되지는 않았으나, 보관되어 오는 과정에서 상당수 판들이 일실(逸失)되었다. 다만, 남아 있는 판들의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하지만 일부 판에서는 마구리가 갈라지거나 균열이 발생하였고, 충격으로 마구리의 가장자리가 부분적으로 손상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본문을 새긴 판면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 일부 하자가 생겼으나, 판면이나 새긴 글자의 마모는 크게 진행되지 않았다. 또한, 책판의 상태로 볼 때, 초각(初刻)된 이후 판의 인출 횟수도 그다지 많지 않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책판의 기본적인 체제와 형식을 살펴보면, 전존하는 서문 한 판은 사주쌍변(四周雙邊)에 계선(界線)을 두고, 초서(草書)의 대자(大字) 형식으로 판각하였다. 글자의 배치는 7행 15자를 기본으로 한두 글자 드나듦이 있다. 판심(版心)에 새겨진 제목은 ‘하지집서(下枝集序)’이다.

그리고 목록과 본문을 새긴 판의 양식은 사주쌍변의 광곽(匡郭) 안에 계선을 새겼고, 글자 배치는 10행 20자의 해서체(楷書體)로 일정하게 판각하였다. 또한 판심의 어미(魚尾)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가 대다수이지만, 간혹 불규칙 어미도 섞여 있다. 판심의 제목은 아래위 어미 사이에 ‘하지집(下枝集)’으로 새겼다.

한편,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를 살펴보면, 세로×가로는 22×58cm 내외로 비교적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였고, 본문을 새긴 반곽(半廓)의 크기는 21×16cm 내외로 균일한 편이다.

반면, 판목의 두께는 얇은 판의 경우 2.7cm에서 두꺼운 판은 4.6cm로, 다른 문집 판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두꺼운 편이다. 그에 따라 책판의 무게도 2.5kg에서 4.2kg에 달해, 일반적인 문집 판이 2kg 내외임을 감안하면, 무거운 편에 속한다.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면의 결합 방식은 본문을 새긴 판면이 마구리의 좌우측 끝까지 관통하는 전형적인 책판 제작 방식을 따랐다. 이 때 본문의 글자를 새긴 판면과 마구리의 고정 방식은 좌우측 마구리의 가운데 부분에 하나의 큰 쇠못을 박아 고정하였다. 이로 인해 책판의 두께가 전반적으로 두꺼운 편임에도 불구하고, 판의 갈라짐 현상이 많이 발생하였다. 다만, 이는 판을 고정시키기 위해 박은 쇠못이 큰 탓도 있겠으나, 판목의 건조 상태와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왜냐하면 『하지집(下枝集)』보다 조금 앞서 제작된 하지의 증조부의 문집인 『고산선생문집(孤山先生文集)』 책판은 두께와 제작 방식이 유사하지만, 판이 갈라진 빈도는 훨씬 적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편, 본문을 새긴 판면과 마구리의 결합되는 부분은 판면의 모양이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아래위 부분을 깎아서 마름모꼴로 줄어드는 가장 일반적인 책판 제작 방식을 따랐다. 이는 책판의 외양을 보기 좋게 함은 물론, 간역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한 방식으로 여겨진다. 즉, 조립 시 시간을 절약하고, 마구리의 파내는 부분과 인쇄 시 판면을 안정적으로 지탱해주는 높이를 고려하였을 것이며, 또한 책판 보관 시의 통기(通氣) 등을 감안한 재단 방식일 것이다.

그리고 마구리의 형태는 본문보다 3-5cm 아래위로 크게 제작되었으며, 높이와 형태가 일정한 정사각형 형태로 만들어졌다. 다만, 일부 판에서는 얇은 직사각형이나 휘어진 것들도 섞여 있어서, 목재를 낭비하지 않고자 하였던 노력이 엿보이기도 한다.

아울러 마구리의 바깥쪽에는 책판 관련 서지 사항을 묵서(墨書)해 두었다. 서지 사항의 표기는 한문으로, ‘권일(卷一) 십일(十一) 십이(十二) 유순(有順)’, 또는 ‘권일(卷一) 십오(十五) 십육(十六) 포흔(抱欣)’ 등과 같이 썼다. 또한, 이러한 서지 기록은 문집 판의 양쪽 마구리의 바깥 편에 모두 필서되었다. 다만, 처음 판각할 당시에는 모든 판에 권차(卷次)와 장차(張次) 및 새긴 각수의 이름을 기재해 두었을 것이나, 일부 판에서는 닳거나 훼손 또는 오염으로 인해 판독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기재된 인명은 ‘원민(元敏)’, ‘용인(龍仁)’, ‘유순(有順)’, ‘포흔(抱欣)’, ‘옥매(玉梅)’, ‘유인(有仁)’ 등 모두 14명에 달한다. 그리고 이들의 인명은 모두 두 글자로 표기되어 있어서, 그 신분은 승려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집(下枝集)』보다 18년 앞서 간행된 하지의 증조부 고산의 문집 판각 시에는 승려와 일반인이 함께 새기는 작업에 참여한 바 있었다.

전존하는 43매의 책판에 기재된 각수들의 이름은 적게는 한 판에서 많게는 4판까지 확인되고 있다. 『하지집』 책판의 완질은 결락된 판수까지 포함하면 120여 판이 되었을 것이다. 그 결락된 판에 기재된 기록을 단정할 수는 없으나, 이 시기 다른 문집 판의 경우에 비추어볼 때, 참여 각수는 20명 내외로 각수 1인당 5판에서 10판 정도의 작업량을 할당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밖에 전존 책판은 양면 판각을 원칙으로 새겨졌던 것으로 보이고, 단면 판각된 사례로는 서문 제3장, 권1의 제19장, 부록인 권7의 제18장, 제21장, 제25장 등 모두 5판이 남아 있다.
특이사항 :
책판이 제작된 시기는 정조 18년(1793)으로, 18세기 후반이었다. 2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보관되어 오는 과정에서 책판에는 크고 작은 하자가 발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존하는 책판의 상태로 미루어, 초각된 이후 후대에 보충하거나 보각(補刻)된 판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책판에 발생한 결함 가운데 마구리에 금이 가거나 눈에 띄는 균열이 발생한 판은 서문 제3장, 목록 제13/14장, 권4의 제17/18장이 있다. 또한 권1의 제1/2장과 권3의 제9/10장은 마구리에 충해로 인한 구멍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권5의 제29/30장을 새긴 판의 좌측 마구리는 충해가 심하여, 그 상당 부분이 부식되어 있으며 구멍이 나 있기도 하였다.

한편, 본문을 새긴 판면에 갈라진 현상이 보이는 판은 권1의 제19장이 두드러지고, 그 밖에 마구리와 판면을 고정하는 쇠못에서 비롯된 갈라짐 현상은 빈번하게 보인다.

그리고 권5의 제11장을 새긴 본문 부분은 마찰로 인하여 상단의 글자가 일부 훼손되었고, 단면 판각된 권7의 제21장의 뒷면에는 ‘하지집(下枝集)’이라는 묵서 기록이 보이기도 한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3,空) 1
目錄 (3,4)(5,6)(9,12)(10,11)(13,14) 5
卷1 (1,2)(3,4)(11,12)(15,16)(17,18)(19,空) 6
卷2 0
卷3 (3,4)(9,10)(13,14)(15,16)(17,41)(20,21)(23,24)(33,34)(35,36)(42,43) 10
卷4 (9,10)(11,12)(15,16)(17,18)(19,20)(21,22)(33,34)(37,38)(41,42)(43,44) 10
卷5 (5,6)(11,12)(13,14)(25,26)(29,30) 5
卷6 (13,14)(17,18)(21,22) 3
附錄 (18,空)(21,空)(25,空) 3
(3,空) 1
目錄 (3,4)(5,6)(9,12)(10,11)(13,14) 5
卷1 (1,2)(3,4)(11,12)(15,16)(17,18)(19,空) 6
卷2 0
卷3 (3,4)(9,10)(13,14)(15,16)(17,41)(20,21)(23,24)(33,34)(35,36)(42,43) 10
卷4 (9,10)(11,12)(15,16)(17,18)(19,20)(21,22)(33,34)(37,38)(41,42)(43,44) 10
卷5 (5,6)(11,12)(13,14)(25,26)(29,30) 5
卷6 (13,14)(17,18)(21,22) 3
附錄 (18,空)(21,空)(25,空) 3
(3,空) 1
目錄 (3,4)(5,6)(9,12)(10,11)(13,14) 5
卷1 (1,2)(3,4)(11,12)(15,16)(17,18)(19,空) 6
卷2 0
卷3 (3,4)(9,10)(13,14)(15,16)(17,41)(20,21)(23,24)(33,34)(35,36)(42,43) 10
卷4 (9,10)(11,12)(15,16)(17,18)(19,20)(21,22)(33,34)(37,38)(41,42)(43,44) 10
卷5 (5,6)(11,12)(13,14)(25,26)(29,30) 5
卷6 (13,14)(17,18)(21,22) 3
附錄 (18,空)(21,空)(25,空) 3
(3,空) 1
目錄 (3,4)(5,6)(9,12)(10,11)(13,14) 5
卷1 (1,2)(3,4)(11,12)(15,16)(17,18)(19,空) 6
卷2 0
卷3 (3,4)(9,10)(13,14)(15,16)(17,41)(20,21)(23,24)(33,34)(35,36)(42,43) 10
卷4 (9,10)(11,12)(15,16)(17,18)(19,20)(21,22)(33,34)(37,38)(41,42)(43,44) 10
卷5 (5,6)(11,12)(13,14)(25,26)(29,30) 5
卷6 (13,14)(17,18)(21,22) 3
附錄 (18,空)(21,空)(25,空) 3
(3,空) 1
目錄 (3,4)(5,6)(9,12)(10,11)(13,14) 5
卷1 (1,2)(3,4)(11,12)(15,16)(17,18)(19,空) 6
卷2 0
卷3 (3,4)(9,10)(13,14)(15,16)(17,41)(20,21)(23,24)(33,34)(35,36)(42,43) 10
卷4 (9,10)(11,12)(15,16)(17,18)(19,20)(21,22)(33,34)(37,38)(41,42)(43,44) 10
卷5 (5,6)(11,12)(13,14)(25,26)(29,30) 5
卷6 (13,14)(17,18)(21,22) 3
附錄 (18,空)(21,空)(25,空) 3
(3,空) 1
目錄 (3,4)(5,6)(9,12)(10,11)(13,14) 5
卷1 (1,2)(3,4)(11,12)(15,16)(17,18)(19,空) 6
卷2 0
卷3 (3,4)(9,10)(13,14)(15,16)(17,41)(20,21)(23,24)(33,34)(35,36)(42,43) 10
卷4 (9,10)(11,12)(15,16)(17,18)(19,20)(21,22)(33,34)(37,38)(41,42)(43,44) 10
卷5 (5,6)(11,12)(13,14)(25,26)(29,30) 5
卷6 (13,14)(17,18)(21,22) 3
附錄 (18,空)(21,空)(25,空) 3
(3,空) 1
目錄 (3,4)(5,6)(9,12)(10,11)(13,14) 5
卷1 (1,2)(3,4)(11,12)(15,16)(17,18)(19,空) 6
卷2 0
卷3 (3,4)(9,10)(13,14)(15,16)(17,41)(20,21)(23,24)(33,34)(35,36)(42,43) 10
卷4 (9,10)(11,12)(15,16)(17,18)(19,20)(21,22)(33,34)(37,38)(41,42)(43,44) 10
卷5 (5,6)(11,12)(13,14)(25,26)(29,30) 5
卷6 (13,14)(17,18)(21,22) 3
附錄 (18,空)(21,空)(25,空) 3
서지/해제 작성자 : 임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