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흥해배씨 녹동리사 괴담종택 > 괴담유고

괴담유고(槐潭遺稿)

조선 후기의 학자 괴담(槐潭) 배상열(裵相說, 1759-1789)의 시문집 6권을 새긴 책판으로, 계선판 2판을 포함하여 모두 111판이 남아 있다.
괴담유고(槐潭遺稿)

1  /  111

  • 저자
    배상열(裵相說)(저)
    판심제
    槐潭遺稿
  • 기탁처
    흥해배씨 녹동리사 괴담종택
    서문
    趙述道(1799)
  • 발문
    黃龍漢(1808)
    판각시기
    1808년
  • 완본수
    0
    현존수
    111
  • 결락수
    0
인물정보
배상열(裵相說) [영조 35년(1759) - 정조 13년(1789)]

조선 후기 안동 출신의 유생으로, 영조 35년(1759) 12월 25일 안동부(安東府)의 내성현(乃城縣) 유로리(留老里)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군필(君弼), 호는 괴담(槐潭)이다. 백죽당(栢竹堂) 배상지(裵尙志)의 후손으로, 증조는 배응만(裵應萬), 조부는 배행목(裵行睦)이다. 아버지는 배집(裵緝)이고, 모친은 안동권씨(安東權氏)로 권경여(權慶餘)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자질이 빼어나고 총명하였으나, 집안이 빈한하여 특별한 스승의 가르침 없이 남의 책을 빌려다 읽으며, 독학으로 『주역(周易)』과 『율려신서(律呂新書)』등을 공부하였다. 젊어서 율여(律呂), 산학(算數), 천문(天文), 지리(地理) 등 상수학(象數學) 관련 서적을 두루 읽었으며, 역학(易學)에 더욱 힘을 쏟았다.

정조 4년(1780) 그의 나이 22세 때에는 이상정(李象靖)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배웠으며, 사서(四書)와 성리서(性理書)에 뜻을 두고 침잠하였다. 그리하여 비교적 젊은 나이임에도 『도학육도(道學六圖)』, 『서계쇄록(書計鎖錄)』, 『사서의의(四書疑義)』, 『성리찬요(性理纂要)』, 『사서찬요(四書纂要)』, 『계몽도해(啓蒙圖解)』등을 저술하였다.

괴담(槐潭) 배상열(裵相說)의 인물과 성품에 대하여 그의 묘표(墓表)를 지은 류장원(柳長源)은 궁벽한 마을에 살아 징험할 만한 문헌이 없었고, 보는 것은 농사짓는 일에 불과하였다고 탄식하였다. 또한 김희락(金熙洛)은 괴담을 추모하는 제문(祭文)에서 궁벽한 마을에서 태어나 애초 사우(師友)의 도움이 없었다고 하였으며, 그럼에도 한 구절 한 구절의 소소한 지식과 해석 모두 몸소 그 경지에 나아가 자득(自得)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고 평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괴담은 뛰어난 자질을 바탕으로 독학을 통해 자득하여 학문을 성취한 인물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병약한 탓이었던지 정조 13년(1789) 봄에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에 갔다가 시험에는 응시하지 않고 돌아왔고, 그로부터 얼마 뒤인 같은 해 4월 14일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으니, 이 때 괴담의 나이는 불과 31세였다.
자세히 보기
문집정보
구성 :
본문의 수록 내용으로 권1에는 시(詩) 2편‚ 서(書) 10편‚ 제문(祭文) 1편‚ 서(序) 2편‚ 기(記) 2편‚ 잠(箴) 1편‚ 명(銘) 1편‚ 잡저(雜著)로 「원조자경(元朝自警)」 등 3편이 수록되었다.

권2에는 잡저로 「독서차록(讀書箚錄)」이 단 한 편 수록되었다. 그리고 권3 또한 잡저로 「도학육도(道學六圖)」한 편만이 실려 있다.

권4 또한 잡저로 「역설제도(易說諸圖)」, 「해채씨사십구저허일체수설(解蔡氏四十九著虛一體數說)」, 「추대연수(推大衍數)」 등 모두 5편이 실려 있다.

권5 역시 잡저로 「기삼백해(朞三百解)」와 기해제도(朞解諸圖) 등 총 3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주로 천체(天體)에 관한 도해(圖解)를 설명하였다.

그 밖에 권6은 부록(附錄)으로 행장(行狀), 묘표(墓表), 묘지명(墓誌銘), 제문(祭文) 3편과 뇌사(誄辭) 9편‚ 만사(輓詞) 8편을 비롯하여 「제도학도설후(題道學圖說後)」, 「도학육도서(道學六圖序)」, 「서육도권후(書六圖卷後)」가 실려 있고, 이어서 순조 8년 김한동(金翰東)이 작성한 「괴담유고지(槐潭遺稿識)」, 순조 11년 김상온(金相溫)의 「역설기해제도후지(易說朞解諸圖後識)」 및 순조 8년 황용한(黃龍漢)의 「괴담유고발(槐潭遺稿跋)」이 수록되어 본문이 마무리된다.

이러한 본문 내용 중 권3에 수록된 「도학육도」가 특히 주목된다. 「도학육도」는 이기혼융지도(理氣渾融之圖)‚ 이오분합지도(二五分合之圖)‚ 천지만물조화지도(天地萬物造化之圖)‚ 심해만화지도(心該萬化之圖)‚ 인사물리지도(人事物理之圖)‚ 위학용력지도(爲學用力之圖) 등 6개의 도표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통해 괴담 배상열이 도(道)와 학문에 대해 선대 제가(諸家)들이 논한 바를 얼마나 섭렵하고 어떻게 해석했는지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권4의 내용을 통해 괴담이 이기(理氣)와 『대학(大學)』, 『소학(小學)』, 『주역(周易)』에 조예가 깊었음을 알 수 있으며, 권5에 수록된 천문학과 관련된 많은 도해를 통해 상수학(象數學) 및 천체에 대한 괴담의 지대한 관심을 엿볼 수 있다.
간역 :
『괴담유고(槐潭遺稿)』는 괴담(槐潭) 배상열(裵相說)의 시문을 모은 문집으로, 전존 편차는 모두 6권 3책이다. 현존 책판으로 찍은 인본이 여러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책판의 판각이나 문집의 간행 시기는 간기(刊記)가 나타나지 않아 특정하기가 어렵다. 다만, 권두의 서문은 정술도(鄭述道)가 정조 23년(1799) 10월에 작성하였고, 권말의 발문은 황용한(黃龍漢)이 순조 8년(1808)에 작성하였다. 일반적으로 판본의 간행 시기는 발문의 작성 시기와 큰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순조 8년 경에 문집이 간행된 것으로 1차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본문의 내용 중 부록 권6에 김상온(金相溫)이 지은 「역설기해제도후지(易說朞解諸圖後識)」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순조 11년(1811) 신미(辛未) 1월에 작성된 것이므로 간행 시기는 순조 11년 이후일 것으로 판단된다.
자세히 보기
목판정보
보관과정 :
책판은 제작된 뒤 괴담종택의 녹동리사(鹿洞里社)의 재실(齋室)에 보관되어 왔다. 제기(祭器)를 보관하는 방에 제기의 아래쪽에 책판을 쌓아두고 나무판으로 막아 비교적 안전하게 보관하였다는 전언(傳言)이 있다.
결락정보 :
본문 책판 중 「흥해배씨세계도(興海裵氏世系圖)」의 제9/10장 및 제13/15장을 새긴 두 판을 제외하고 나머지 본문 판은 누락되지 않고 남아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여러 인본을 두루 살펴보더라도 「흥해배씨세계도」가 인출되어 성책된 인본이 남아 있지 않으므로, 정확한 결락 정보는 확인하기 어렵다.

한편, 「세계도」를 새긴 판은 육안으로 보아도 목질과 마모 정도가 확연히 다르고, 또한 마구리에 표시되는 판명이나 장차 등 어떠한 기록도 남아 있지 않아서, 이 판이 『괴담유고』와 같은 시기에 판각된 것이 아님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권6의 내용을 새긴 일부 판의 경우 판심의 장차를 잘못 새긴 탓에 중복판인 것처럼 보이나, 이는 각수의 실수로 여겨진다. 즉, 동일 권차의 동일 장차라고 하더라도 새긴 본문의 내용이 다르고, 현존 인본과 대조하면 다른 장에 해당하는 판을 새겼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권4의 제11/12장을 새긴 판은 동일한 판이 두 판 중복으로 남아 있다.
형태적특징 :
판목의 보존 상태는 『괴담유고(槐潭遺稿)』가 괴담의 저작 중 비교적 일찍 간행된 순조 11년(1811) 경의 것임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보각이 이루어졌다거나 중복판이 발생한 것으로 미루어, 잦은 인출 횟수와 그간의 세월을 짐작하게 한다.

본문을 새긴 판면은 큰 마멸이 발생하지 않았고, 육안으로 자획이 판독되는 수준이다. 책판의 소장 현황을 보면, 초서(草書)로 판각한 서문 2장을 비롯하여, 해서(楷書)로 새긴 본문 판은 누락 없이 남아 있다. 다만, 「세계도(世系圖)」를 새긴 제9/10장과 제13/15장 두 판이 결락되어 있다. 그리고 권4의 제11/12장은 동일 판이 두 장 남아 전한다.

본문의 판각 양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의 광곽(匡郭) 안에 계선(界線)을 판각하고, 글자는 서문의 경우 7행 14자의 초서체 대자로 판각하였으며, 본문은 11행 23자를 기본으로 하여 촘촘하게 새겼다.

판심에는 아래위 백구(白口)에 어미(魚尾) 형태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로 균일하다.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를 보면, 세로는 23cm 내외로 거의 일정한 반면, 가로는 56-59cm 내외로 약간의 드나듦이 있다. 그리고 판면을 새긴 반곽(半廓)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대략 22×19cm 내외로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였다.

한편, 판목의 두께는 1.6-3.9cm 내외로,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는 판들이 일부 남아 있다. 이에 따라 목판의 무게 또한 적게는 1.5kg에서 많게는 3.4kg까지 편차를 보이며 두 배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그 밖에 목판의 좌우에는 모두 마구리로 덧대어져 있고, 일부 판은 마구리가 떨어져 나가 있기도 하다.

목판 제작 시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의 결합 형태는 나무못(목심)으로 가운데에 한 개 또는 두 개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일관되게 제작되었다. 그리고 판면이 마구리에 고정되는 부분은 마구리의 좌우까지 끝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구리의 홈 크기와 본문 판이 결합되는 부분이 맞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에는 마구리와 판면을 결합한 뒤 목심을 마구리의 좌우측 바깥 부분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보강하여 흔들림을 방지하였다. 흔들림 방지를 위한 이와 같은 보강 형태는 이 시기에 제작된 여러 책판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방식이다.

마구리의 형태는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재단된 것이 주를 이루지만, 간혹 직사각형이나 비대칭형 사각 형태도 섞여 있다. 마구리는 본문보다 5cm 내외로 크게 제작되었고, 크기는 균일한 편이다. 그리고 마구리의 좌우측 바깥쪽에는 판의 본문 해당 부분과 장차를 묵서해 두었다. 예컨대, ‘서문(序文) 사장(四章)’이나 ‘초권(初卷) 일장(一章)’ 등과 같은 형식이다.

한편, 모든 판에 해당되지는 않으나 일부 판에는 마구리의 앞부분에 이 판을 새긴 각수의 이름이 기입되어 있다. 예컨대, 목록 제1장/권3의 1장이 판각된 판에는 ‘치준(致俊)’, 권1의 제1/2장에도 ‘치준(致俊)’, 권1의 제3/4장에 ‘처익(處益)’ 등과 같다. 다만, 일부 다른 판에서는 마구리의 옆면에 ‘삼권(三卷) 사십육장(四十六章) 박정복(朴定福)’과 같이 한 곳에 몰아 표시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표기된 인물로 판독 가능한 각수를 대략 세어 보면, 15명 내외의 인원이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참여 인원은 각수가 확인되는 다른 문집 판들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는데, 이 시기에 제작된 다른 문집 판들의 각수 참여 현황을 보면, 문집의 분량과는 큰 상관없이 적게는 5명 내외, 많게는 20명에 가까운 각수 이름이 확인되고 있다.

한편, 전체 책판 중 대다수는 양면 판각으로 되어 있고, 「세계도」의 제14장과 권3의 서문, 권6의 제25장과 제28장의 4판이 단면으로 판각되었다. 더불어 글자를 새긴 판면과 마구리가 결합되는 부분은 어김없이 마름모꼴로 줄어들어 마구리와 결합 부분을 줄였다.
특이사항 :
책판의 상태는 본문을 새긴 판면뿐만 아니라 마구리까지도 전반적으로 먹이 많이 묻어 있고, 크고 작은 하자가 눈에 띄어 인출 횟수가 잦았음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예컨대, 본문에 균열이 발생하여 갈라진 판으로 「세계도」의 제7/8장과 제11/12장 및 제14장, 권1의 제13/14장, 권1 제21장/권4 제1장, 권3의 제30/42장과 제39/40장이 육안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마구리에 균열이 발생하여 갈라진 판으로 「세계도」제5/6장의 좌측 마구리, 「세계도」제7/8장의 좌우측 마구리, 권3의 제19/20장, 권3의 제37/38장, 권6의 제9/24장이 있다.

한편, 책판의 교정 사례로, 앞면이 권1의 제19장이고 뒷면이 권6의 제28장을 새긴 판의 경우 뒷면 권6의 제28장의 우측 제1-6행이 대폭 교정되었다. 교정 방식은 6행 분량을 파내고 새로 새긴 목편을 끼워 넣는 방식이다. 비슷한 사례로, 권6의 제20/25장을 새긴 판 중 제20장을 판각한 좌측 제2행의 상단부에는 14자 가량이 보수되었다. 보수된 방법은 책판의 전형적인 교정 방법으로, 14자 분량을 파내고 새로 새긴 작은 판을 본판에 끼워 넣는 방식이다. 이러한 교정 사례는 당시에 이루어진 책판본의 출판 및 교정 과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또한, 본문에 어떠한 내용도 새기지 않고 계선만을 판각한 계선판(界線板)이 2판 남아 있어서, 문집 간행 시 판하본(板下本) 작성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판하본을 필사한 용도로 사용하였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은 판심에 새기진 어미의 형태가 동일하고, 판목의 크기와 두께도 다른 판들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판목의 심하게 뒤틀리거나 휘어진 정도가 심한 판으로, 「세계도」제5/6장이 판목이 휘는 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그 밖에 마구리가 떨어져 나간 것으로, 「세계도」 제16/17장의 좌측 마구리, 권4의 제11/12장 등 두 판이 있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1,2)(3,4) 2
目錄 (1,卷3-1)(3,卷4-10)(1,1)(2,卷4-19) 4
興海裵氏世系圖 (5,6)(7,8)(11,12)(14,空)(16,17) 5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附錄 卷6-28)(20,附錄 卷6-13)(21,卷4-1)(22,卷4-2)(23,24)(25,26)(27,28)(29,30) 17
卷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卷5-29) 10
卷3 (1,識)(2,15)(3,4)(5,28)(6,31)(7,8)(9,10)(11,41)(12,27)(13,16)(14,32)(17,23)(18,43)(19,20)(20,22)(24,44)(25,26)(29,卷4-9)(30,42)(33,34)(35,36)(37,38)(39,40)(45,46)(47,48)(49,50)(52,53) 28
卷4 (3,4)(5,6)(7,8)(空,11)(11,12)(11,12)(13,14)(15,16)(17,18) 9
卷5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30,附錄 卷6-12)(31,32) 16
附錄 卷6 (1,2)(3,4)(5,6)(7,8)(9,24)(10,11)(10,20)(14,15)(16,17)(18,19)(19,27)(21,22)(23,24)(25,空)(25,□)(26,27)(28,空) 17
(33,34) 1
(空,空)(空,空) 2
(1,2)(3,4) 2
目錄 (1,卷3-1)(3,卷4-10)(1,1)(2,卷4-19) 4
興海裵氏世系圖 (5,6)(7,8)(11,12)(14,空)(16,17) 5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附錄 卷6-28)(20,附錄 卷6-13)(21,卷4-1)(22,卷4-2)(23,24)(25,26)(27,28)(29,30) 17
卷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卷5-29) 10
卷3 (1,識)(2,15)(3,4)(5,28)(6,31)(7,8)(9,10)(11,41)(12,27)(13,16)(14,32)(17,23)(18,43)(19,20)(20,22)(24,44)(25,26)(29,卷4-9)(30,42)(33,34)(35,36)(37,38)(39,40)(45,46)(47,48)(49,50)(52,53) 28
卷4 (3,4)(5,6)(7,8)(空,11)(11,12)(11,12)(13,14)(15,16)(17,18) 9
卷5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30,附錄 卷6-12)(31,32) 16
附錄 卷6 (1,2)(3,4)(5,6)(7,8)(9,24)(10,11)(10,20)(14,15)(16,17)(18,19)(19,27)(21,22)(23,24)(25,空)(25,□)(26,27)(28,空) 17
(33,34) 1
(空,空)(空,空) 2
(1,2)(3,4) 2
目錄 (1,卷3-1)(3,卷4-10)(1,1)(2,卷4-19) 4
興海裵氏世系圖 (5,6)(7,8)(11,12)(14,空)(16,17) 5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附錄 卷6-28)(20,附錄 卷6-13)(21,卷4-1)(22,卷4-2)(23,24)(25,26)(27,28)(29,30) 17
卷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卷5-29) 10
卷3 (1,識)(2,15)(3,4)(5,28)(6,31)(7,8)(9,10)(11,41)(12,27)(13,16)(14,32)(17,23)(18,43)(19,20)(20,22)(24,44)(25,26)(29,卷4-9)(30,42)(33,34)(35,36)(37,38)(39,40)(45,46)(47,48)(49,50)(52,53) 28
卷4 (3,4)(5,6)(7,8)(空,11)(11,12)(11,12)(13,14)(15,16)(17,18) 9
卷5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30,附錄 卷6-12)(31,32) 16
附錄 卷6 (1,2)(3,4)(5,6)(7,8)(9,24)(10,11)(10,20)(14,15)(16,17)(18,19)(19,27)(21,22)(23,24)(25,空)(25,□)(26,27)(28,空) 17
(33,34) 1
(空,空)(空,空) 2
(1,2)(3,4) 2
目錄 (1,卷3-1)(3,卷4-10)(1,1)(2,卷4-19) 4
興海裵氏世系圖 (5,6)(7,8)(11,12)(14,空)(16,17) 5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附錄 卷6-28)(20,附錄 卷6-13)(21,卷4-1)(22,卷4-2)(23,24)(25,26)(27,28)(29,30) 17
卷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卷5-29) 10
卷3 (1,識)(2,15)(3,4)(5,28)(6,31)(7,8)(9,10)(11,41)(12,27)(13,16)(14,32)(17,23)(18,43)(19,20)(20,22)(24,44)(25,26)(29,卷4-9)(30,42)(33,34)(35,36)(37,38)(39,40)(45,46)(47,48)(49,50)(52,53) 28
卷4 (3,4)(5,6)(7,8)(空,11)(11,12)(11,12)(13,14)(15,16)(17,18) 9
卷5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30,附錄 卷6-12)(31,32) 16
附錄 卷6 (1,2)(3,4)(5,6)(7,8)(9,24)(10,11)(10,20)(14,15)(16,17)(18,19)(19,27)(21,22)(23,24)(25,空)(25,□)(26,27)(28,空) 17
(33,34) 1
(空,空)(空,空) 2
(1,2)(3,4) 2
目錄 (1,卷3-1)(3,卷4-10)(1,1)(2,卷4-19) 4
興海裵氏世系圖 (5,6)(7,8)(11,12)(14,空)(16,17) 5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附錄 卷6-28)(20,附錄 卷6-13)(21,卷4-1)(22,卷4-2)(23,24)(25,26)(27,28)(29,30) 17
卷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卷5-29) 10
卷3 (1,識)(2,15)(3,4)(5,28)(6,31)(7,8)(9,10)(11,41)(12,27)(13,16)(14,32)(17,23)(18,43)(19,20)(20,22)(24,44)(25,26)(29,卷4-9)(30,42)(33,34)(35,36)(37,38)(39,40)(45,46)(47,48)(49,50)(52,53) 28
卷4 (3,4)(5,6)(7,8)(空,11)(11,12)(11,12)(13,14)(15,16)(17,18) 9
卷5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30,附錄 卷6-12)(31,32) 16
附錄 卷6 (1,2)(3,4)(5,6)(7,8)(9,24)(10,11)(10,20)(14,15)(16,17)(18,19)(19,27)(21,22)(23,24)(25,空)(25,□)(26,27)(28,空) 17
(33,34) 1
(空,空)(空,空) 2
(1,2)(3,4) 2
目錄 (1,卷3-1)(3,卷4-10)(1,1)(2,卷4-19) 4
興海裵氏世系圖 (5,6)(7,8)(11,12)(14,空)(16,17) 5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附錄 卷6-28)(20,附錄 卷6-13)(21,卷4-1)(22,卷4-2)(23,24)(25,26)(27,28)(29,30) 17
卷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卷5-29) 10
卷3 (1,識)(2,15)(3,4)(5,28)(6,31)(7,8)(9,10)(11,41)(12,27)(13,16)(14,32)(17,23)(18,43)(19,20)(20,22)(24,44)(25,26)(29,卷4-9)(30,42)(33,34)(35,36)(37,38)(39,40)(45,46)(47,48)(49,50)(52,53) 28
卷4 (3,4)(5,6)(7,8)(空,11)(11,12)(11,12)(13,14)(15,16)(17,18) 9
卷5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30,附錄 卷6-12)(31,32) 16
附錄 卷6 (1,2)(3,4)(5,6)(7,8)(9,24)(10,11)(10,20)(14,15)(16,17)(18,19)(19,27)(21,22)(23,24)(25,空)(25,□)(26,27)(28,空) 17
(33,34) 1
(空,空)(空,空) 2
(1,2)(3,4) 2
目錄 (1,卷3-1)(3,卷4-10)(1,1)(2,卷4-19) 4
興海裵氏世系圖 (5,6)(7,8)(11,12)(14,空)(16,17) 5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附錄 卷6-28)(20,附錄 卷6-13)(21,卷4-1)(22,卷4-2)(23,24)(25,26)(27,28)(29,30) 17
卷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卷5-29) 10
卷3 (1,識)(2,15)(3,4)(5,28)(6,31)(7,8)(9,10)(11,41)(12,27)(13,16)(14,32)(17,23)(18,43)(19,20)(20,22)(24,44)(25,26)(29,卷4-9)(30,42)(33,34)(35,36)(37,38)(39,40)(45,46)(47,48)(49,50)(52,53) 28
卷4 (3,4)(5,6)(7,8)(空,11)(11,12)(11,12)(13,14)(15,16)(17,18) 9
卷5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30,附錄 卷6-12)(31,32) 16
附錄 卷6 (1,2)(3,4)(5,6)(7,8)(9,24)(10,11)(10,20)(14,15)(16,17)(18,19)(19,27)(21,22)(23,24)(25,空)(25,□)(26,27)(28,空) 17
(33,34) 1
(空,空)(空,空) 2
서지/해제 작성자 : 임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