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인동장씨 녹리고택 > 숙흥야매잠집설

숙흥야매잠집설(夙興夜寐箴集說)

조선 후기의 학자인 사미헌(四味軒) 장복추(張福樞, 1815~1900)의 저술서를 새긴 책판이다. 책판은 10여 판 정도가 누락된 36판이 남아 있다.
숙흥야매잠집설(夙興夜寐箴集說)

1  /  36

  • 저자
    장복추(張福樞)(저)
    판심제
    夙興夜寐箴集說
  • 기탁처
    인동장씨 녹리고택
    서문
  • 발문
    판각시기
    1866년
  • 완본수
    0
    현존수
    36
  • 결락수
    13
인물정보
• 장복추 [張福樞, 순조 15년(1815)~고종 37년(1900)]

저자 장복추(張福樞)는 조선 말기의 유학자로 본관은 인동(仁同) 사람이다. 그의 자(字)는 경하(景遐), 호는 사미헌(四未軒)이다. 생부(生父)는 장굉(張浤)이고, 3세 때 조부의 명에 따라 큰아버지 장관(張寬)에게 입양되었다.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8대손이며, 조부 각헌(覺軒) 장주(張儔)로부터 학업의 기초를 닦으면서 19세기 후반 폭넓은 저술 활동으로 후배 유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선생은 1859년에 유학의 기본 골격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학문 방향을 설정하면서 효(孝), 경(敬), 충(忠), 신(信)의 4가지 기본 덕목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고 스스로 질책하면서 집에 ‘사미헌(四未軒)’이란 당호를 걸고 자기 수양과 성찰을 중시하였다. 그의 학행과 명성이 알려져 1881년 경학(經學)으로 천거되어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 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 절충장군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龍驤衛副護軍) 등의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거절하고 초야에 머물면서 학문 연구에 매진하였다.
학문적으로 이진상(李震相), 곽종석(郭鍾錫), 허훈(許薰) 등과 함께 주리설(主理說)을 발전시켰으며 한말 유학의 전통성 유지와 실천에 힘쓴 대표적 주자학자이다.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를 모시던 우산서원(愚山書院)이 철폐되자 복건(復建)을 앞장서 주청하고, 1884년에 의제개혁(衣制改革)이 시행되자 이를 성토하는 상소를 올렸다.
1895년에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인동 주변의 유림들이 의병을 일으킬 것을 청하자 그는 무모하게 참여하면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화만 자초할 것이라는 신념에 따라 완곡히 사절하였다. 그는 거의 독학으로 공부하여 영남 유학에 일가를 이루었고 계속 초야에 머물며 4백여 명의 제자를 배출하면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문집정보
구성 :
『숙흥야매잠집설(夙興夜寐箴集說)』은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가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에 관련된 여러 주해(注解)들을 모아 이론을 체계적으로 집약한 책이다. 그 이전에 『숙흥야매잠』은 중국 송(宋)나라 진백(陳栢)이 주자(朱子)의 『경재잠언(敬齋箴言)』과 서로 표리(表裏)를 이루는 것으로 『숙흥야매잠』은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여러 학자들이 주해(註解)하였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성학십도(聖學十圖)』에 진백(陳栢)의 잠(箴)을 도해(圖解)한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를 제10도(圖)에 수록하였으며, 조선 명종(明宗) 때 노수신(盧守愼, 1515∼1590)은 문장과 뜻이 간단하고 요령이 있는 진백의 『숙흥야매잠』이 후학들이 유용하게 읽을 수 있도록 상세하게 주석을 달아 해설한 『숙흥야매잠주해(夙興夜寐箴註解)』를 지었다. 장복추는 노수신(盧守愼)의 본주를 인용하였으며 퇴계(退溪)의 『성학십도』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를 시도하여 더욱 정밀하게 하였다.
『숙흥야매잠집설』은 저술하는 데 무려 10년의 세월이 걸려 1864년에 완성하였다. 그러나 본문에 수록된 정오석(鄭五錫)이 발문을 지은 연도가 1866년인 것으로 보아 간행은 책이 완성된 지 몇 년 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장복추는 자신이 직접 지은 서문에서, “『숙흥야매잠』은 이황이 『성학십도』에 포함시키고, 노수신(盧守愼)이 주해를 붙였지만 주해의 예가 자구(字句)를 따라서 훈석(訓釋)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거기에 들어가는 문로와 실천하는 절차는 반드시 중국과 우리나라 제현들의 설을 유추하고 널리 알아야만 그 의미를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도(圖)에 의거하여 이황의 분장(分章)을 따르고, 장(章)에 따라서 노수신의 본래 주를 인용하였으며, 부록은 한강 정구의 『심경발휘(心經發揮)』를 인용하였고, 퇴계 이황(李滉),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 한강(寒岡) 정구(鄭求),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선조인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학설을 종합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 설을 대략 가려서 보충하여 밝혀 ‘숙흥야매잠집설’이라고 하였다.
간역 :
『숙흥야매잠집설』은 저술하는 데 무려 10년의 세월이 걸려 1864년에 완성하였다. 그러나 본문에 수록된 정오석(鄭五錫)이 발문을 지은 연도가 1866년인 것으로 보아 간행은 책이 완성된 지 몇 년 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목판정보
결락정보 :
현재 남아 있는 판은 36판이나 목판의 한 면만을 판각한 경우가 많아 완판이 얼마인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현재 남아 있는 책판의 한판에 새긴 것을 참고하여 장차를 부여하여 결락판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 : 9/10, 15/16, 19/20, 23, 25, 27, 28, 53/54, 55/56, 61, 66, 71/72, 77, 78
발문(跋文) : 1
형태적특징 :
책판의 보존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며, 사주단변(四周單邊)의 광곽(匡郭) 안에 본문은 해서(楷書)로 새겼다. 책판은 10여 판 정도가 누락된 36판이 남아 있다.
본문의 판각 체제는 10행 20자를 기본으로 하고, 전체 본문에 걸쳐 계선(界線)을 판각하였다. 판심의 양식은 아래위 백구(白口)에 어미(魚尾)는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로 균일하다.
판수(板首)의 제목은 ‘숙흥야매잠집설(夙興夜寐箴集說)’이고, 판심의 제목도 동일하다.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0×52㎝ 내외로 비교적 고른 편이나 가로 길이가 길게는 55㎝인 것도 있다. 반곽(半廓)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19×16㎝로 거의 일정하다.
반면, 판목의 두께는 얇은 판은 1.7㎝에서 두꺼운 판은 2.5㎝에 달해 2㎝ 가량의 편차가 있는 것도 있으나 평균적인 두께는 2㎝ 내외로 제작되었다. 책판의 무게는 적게는 1.4㎏에서 많게는 2.5㎏이 넘어서 비교적 차이가 크다. 평균적인 목판의 무게는 1.7㎏에서 2.0㎏ 내외이다. 한편, 판목의 보존 상태는 전반적으로는 양호하다.
이외에도 마구리의 형태와 묵서 기록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책판 제작 시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의 결합 형태는 나무못, 즉 목심을 가운데에 한 개 또는 두 개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일관되게 제작하였다. 그리고 판면이 마구리에 고정되는 부분은 마구리의 좌우측 끝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구리의 홈 크기와 본문판이 결합되는 부분이 맞지 않아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마구리와 판면을 결합한 뒤 목심을 마구리의 좌우측 바깥 부분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보강하여 흔들림을 방지하였다.
마구리의 형태는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크기도 비교적 균정한 편이며, 본문보다 5㎝ 내외로 크게 제작되어 본문을 새긴 판을 견고하게 지탱하고 있다. 그리고 마구리의 앞면이나 바깥쪽에는 문집명과 책판이 해당하는 장차를 묵서(墨書)해 두었다.
한편, 전존하는 목판 중 단면으로 판각된 것은 제24장, 제26장, 제62장, 제75장, 제76장, 제79장의 모두 6판이다.
특이사항 :
전존하는 목판 중 각 권의 목판의 전후에 연속되지 않은 다른 장차와 함께 판각한 것이 있다. 제29장과 제36장, 제30장과 제35장, 제39장과 제66장, 제40장과 제49장, 제50장과 제63장, 제59장과 제83장, 제60장과 제80장이 그러한 예이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1,2)(3,4)(5,6)(7,8)(11,12)(13,14)(17,18)(21,22)(24,空)(26,空)(29,36)(30,35)(31,32)(33,34)(37,38)(39,66)(40,49)(41,42)(43,44)(45,46)(47,48)(50,63)(51,52)(57,58)(59,83)(60,80)(62,空)(64,65)(67,68)(69,70)(73,74)(75,空)(76,空)(79,空)(81,82) 35
(2,3) 1
(1,2)(3,4)(5,6)(7,8)(11,12)(13,14)(17,18)(21,22)(24,空)(26,空)(29,36)(30,35)(31,32)(33,34)(37,38)(39,66)(40,49)(41,42)(43,44)(45,46)(47,48)(50,63)(51,52)(57,58)(59,83)(60,80)(62,空)(64,65)(67,68)(69,70)(73,74)(75,空)(76,空)(79,空)(81,82) 35
(2,3) 1
서지/해제 작성자 : 임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