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한산이씨 대산종가 > 대산선생실기

대산선생실기(大山先生實紀)

『대산선생실기(大山先生實紀)』은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시문집이다.
대산선생실기(大山先生實紀)

1  /  171

  • 저자
    이상정(李象靖)(저), 류치명(柳致明)(편)
    판심제
    大山先生實紀
  • 기탁처
    한산이씨 대산종가
    서문
    柳致明(1845)
  • 발문
    李性求(1925)
    판각시기
    1865년
  • 완본수
    185
    현존수
    171
  • 결락수
    14
인물정보
이상정(李象靖, 1711~1781)의 자는 경문(景文), 호는 대산(大山), 시호는 문경(文敬),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이재(李栽)의 문인으로 1735년(영조 11)에 사마시를 거쳐 증광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 1735년 가주서(假注書), 1739년에 연원찰방(連原察訪), 1753년 연일현감에 임명되었으나, 그 때마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고, 이후 병조참지, 예조참의, 형조참의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았다. 안동 일직 대석산(大夕山) 기슭에 대산서당(大山書堂)을 짓고 퇴계 이황(李滉)의 학문을 계승하여 연구하면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순조 때 가선대부 이조참판으로 증직되었고, 고종때 자헌대부 이조판서로 증직되었다. 이 책 외에 『퇴계서절요(退溪書節要)』, 『해이기휘편(解理氣彙編)』 등 많은 저서가 있고, 그의 시문과 행적은 『대산선생문집(大山先生文集)』과 「대산선생실기(大山先生實紀)』로 편찬되어 전한다.
자세히 보기
문집정보
구성 :
『대산선생실기』는 10권 5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범례와 류치명(柳致明)이 1845년에 쓴 서(序)가 있고 목록이 편성되어 있다. 권1에는 세계(世系)와 연보(年譜)가 들어 있다. 권2에는 이광정(李光靖)이 찬한 행장, 류도원(柳道源)이 찬한 묘지명, 채제공(蔡濟恭)이 쓴 묘갈명, 류치명이 쓴 신도비명, 권3에는 이종수(李宗洙)가 찬한 「서술(敍述)」, 김종덕(金宗德)이 쓴 「관규록(管窺錄)」, 권4에는 유사(遺事)가 실려 있다. 권5부터 권8까지는 기문(記聞)인데, 이상정의 경학 세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권9에는 「고종일기(考終日記)」, 제문(祭文), 진정(陳情)이 들어 있는데, 김종섭(金宗燮)과 류범휴(柳範休)가 쓴 「고종일기」는 선생의 말년 투병과정을 애도한 글이고, 「진정」에는 선생의 추존과 그에 대한 비답이 들어 있다. 권10은 「고산지(高山誌)」인데 이상정이 태어나고 성장한 안동 일직현 고산에서의 이상정의 학문 교유와 강학 내용을 담고 있다. 권말에 있는 이성구(李性求)의 발문은 1925년 중간시에 추가된 것이다.
간역 :
『大山先生實紀』는 1845년 외증손 류치명(柳致明)이 정리하여 10권 5책으로 간행하였다. 이후 화재 등 사유로 산질이 많아진 상황에서 선생의 6대손 이성구(李性求)의 주도로 1925년에 달성의 광거당(廣居堂)에서 중간되었다.
자세히 보기
목판정보
보관과정 :
이 목판은 안동시 일직면 망호동 고산서원(高山書院)에서 보관 관리해 오다가 2002년에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하여 보관 중이다.
결락정보 :
전체 171장이 남아 있고, 14장이 결락이다. 결락된 판은 권1(9,10), 권2(11,12), (27,28), 권4(7,8), (11,12), (33,34), (35,36), (43,44), (49,50), 권5(7,8), (15,16), 권6(31,32), 권7(37,38), 권9(7,8), 등이다. 각각 불용판과 추각판이 남아 있다. 결락 사유나 결락된 판의 소재는 확인되지 않는다.
남아 있는 판의 경우 마구리도 모두 갖추어져 있는데, 보수한 판을 제외한 나머지는 원래대로 남아 있다.
특이사항 :
백광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는 작은 글자 쌍행으로 된 판과 단행으로 된 판이 섞여 있다. 범례(2), 권9(23,24), 권11(11), 발(3,4: 유치명의 서문) 등은 불용판과 추각판이 함께 남아 있다. 권3(13), 권5(5), (12), (14), (28), 권9(22), (23), (29) 등 미비가 있는 판도 있다. 권1(17), 권4(6) 등에는 상감처리된 부분이 있다. 권1(17) 우측면 제2행 상감처리된 중앙 부분은 탈락되고 남아 있지 않다.
판각은 상하반전과 좌우반전이 혼재되어 있다. 판면 좌우는 대부분 마름모꼴로 재단되어 마구리에 관통형으로 장착되어 있으나. 권5(11,12), (31,32), 권6(27,28) 등 평행에 가까울 정도로 각이 거의 없이 장착된 판도 일부 있다.
전체적으로 판면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그러나 권3(9,10), 권7(29,30), 권7(33,34) 등 충해가 있는 판이 있고, 권3(33,34), 권4(17,18), 권6(3,4) 등 습기로 얼룩이 있는 판이 여러 장 있으며, 권2(33,34), 권3(7,8), (11,12), 권4(53,54), 권(29,30) 등 가로로 많이 균열이 많이 된 판이 몇 장 있고, 권1(15,16), (19,20), 권9(31,32) 등 측면 균열이 시작되고 있는 판도 여러 장 있으며, 표면 가장자리에 미세한 마모가 있는 판도 일부 있다.
마구리도 세계도(5) 좌측이 없는 판을 제외하고는 모두 갖추어져 있다. 권9(21,22)등 새로 보수해서 끼운 경우도 있다. 범례(1,2) 우측, 권3(7,8) 우측 등 부분적인 균열이 있는 것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비교적 상태가 양호하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凡 例 (1,2)(2*추각판, 重刊跋1) 2
(3*불용판,4*불용판)(3*추각판,4*추각판) 2
目 錄 (1,2) 1
世系圖 (1,2)(3,4)(5,空) 3
卷 1 (1,2)(3,4)(5,6)(7,8)(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 15
卷 2 (1,2)(3,4)(5,6)(7,8)(9,10)(13,14)(15,16)(17,18)(19,20)(21,22)(23,24)(25,26)(29,30)(31,32)(33,34)(35,36)(37,卷3-33) 17
卷 3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9,30)(31,32) 15
卷 4 (1,2)(3,4)(5,6)(9,10)(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7,38)(39,40)(41,42)(45,46)(47,48)(51,52)(53,54)(55,56)(57,58) 23
卷 5 (1,2)(3,4)(5,6)(9,10)(11,12)(13,14)(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 19
卷 6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 15
卷 7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9,40)(41,42)(43,44) 21
卷 8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 15
卷 9 (1,2)(3,4)(5,6)(9,10)(11,12)(13,14)(15,16)(17,18)(19,20)(21,22)(23*추각판,24*추각판)(23*불용판,24*불용판)(25,26)(27,28)(29,30)(31,32)(33,34) 17
卷 10 (1,2)(3,4)(5,6)(7,8)(9,10)(11,11*추각판) 6
서지/해제 작성자 : 목판연구소 김종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