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한산이씨 대산종가 > 고산급문록

고산급문록(高山及門錄)

『고산급문록(高山及門錄)』은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문인록이다.
고산급문록(高山及門錄)

1  /  51

  • 저자
    류치명(柳致明)(편), 이병원(李秉遠)(편)
    판심제
    高山及門錄
  • 기탁처
    한산이씨 대산종가
    서문
  • 발문
    판각시기
    純祖 연간
  • 완본수
    74
    현존수
    51
  • 결락수
    23
인물정보
이상정(李象靖, 1711~1781)의 자는 경문(景文), 호는 대산(大山), 시호는 문경(文敬),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이재(李栽)의 문인으로 1735년(영조 11)에 사마시를 거쳐 증광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 1735년 가주서(假注書), 1739년에 연원찰방(連原察訪), 1753년 연일현감에 임명되었으나, 그 때마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고, 이후 병조참지, 예조참의, 형조참의에 제수되었으나 출사하지 않았다. 안동 일직 대석산(大夕山) 기슭에 대산서당(大山書堂)을 짓고 퇴계 이황(李滉)의 학문을 계승하여 연구하면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순조 때 가선대부 이조참판으로 증직되었고, 고종때 자헌대부 이조판서로 증직되었다. 이 책 외에 『퇴계서절요(退溪書節要)』, 『해이기휘편(解理氣彙編)』 등 많은 저서가 있고, 그의 시문과 행적은 『대산선생문집(大山先生文集)』과 「대산선생실기(大山先生實紀)』로 편찬되어 전한다.
자세히 보기
문집정보
구성 :
3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범례, 목록이 먼저 나오고 이어 부록으로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이 쓴 묘갈명, 후산(后山) 이종수(李宗水)가 쓴 서술(敍述), 천사(川沙) 김종덕(金宗德) 이 쓴 관규록(管窺錄)이 첨부되어 있다. 본문 내용은 권1에는 이춘부(李春溥)로부터 권양(權襄)까지, 제2권은 정종로(鄭宗魯)로부터 권택려(權宅麗)까지 수록되어 있으며, 권3 속록에는 이서룡(李瑞龍)으로부터 이영만(李永萬)까지 대산 이상정의 문인 273인의 명단이 있다.
간역 :
경북 안동의 고산서원에서 순조 연간(1800-1834)에 편집, 간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범례에 따르면 대산 선생의 손 이병원(李秉遠)이 초고를 모으고 류치명(柳致明)이 「급문제자록(及門諸子錄)」으로 완성하여 선생의 실기 부록으로 간행하였던 것을 단행본으로 묶어 편찬하면서, 『이학통록(理學通錄)』과 『도산급문제현록(陶山及門諸賢錄)』의 선례를 본받아, 묘갈명과 서술(敍述)과 관규록(管窺錄)을 권두에 추가하여 간행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현존하는 간기판은 1940년에 안동 고산서원에서 간행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때 일부 수정 보완 판각하여 간행할 때의 것으로 보인다.
목판정보
보관과정 :
이 목판은 안동시 일직면 망호동 고산서원(高山書院)에서 보관 관리해 오다가 2002년에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하여 보관 중이다.
결락정보 :
전체 51장이 남아 있고, 23장이 결락이다. 결락된 판은 목록(1,2), 묘갈명(1,2), (3,4), (5,서술6), 서술(7,8), (9,10), (15,관규록16), 관규록(17,18), (19,20), (25,26), 권1(1,2), (11,12), (17,18), (19,20), (21,22), (29,30), (32), 권2(9,10), (15,16), (23,24), (25,26), (29,30), (49,50), 권3(3,4), (11,12) 등이다. 결락 사유나 결락된 판의 소재는 확인되지 않는다.
마구리는 모두 갖추어져 있는데, 보수한 권3(15,16), (17,空) 등을 제외한 나머지는 원래대로 남아 있다.
특이사항 :
목록 12쪽 좌측 제8행 상감 부분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문집에는 “신덕겸, 호풍영헌거창인(愼德謙, 號風詠軒居昌人)”으로 되어 있으나, “신석관, 호홍재거창인(愼碩寬, 號弘齋居昌人)”으로 수정되어 있으나 먹이 묻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아직 인출되 바 없는 것으로 보인다.
11쪽 뒷면의 12쪽은 본래의 판으로 불용판으로 보인다. 내용은 노사정(盧思程)으로부터 송동엽(宋東燁)까지이다. 8쪽 뒷면의 12쪽 내용과 내용상 많은 차이가 있다.
14쪽 좌측 제3행은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문집에는 “김보규, 호오산김해인(金甫奎, 號午山金海人)”의 내용이 있으나 목판에는 상감 매목되어 있고 새김이 없다. 같은 면 제5행은 상감 삭제되어 비어 있는 상태인데, 무각 매목인지 상감 교체부분이 탈락되었는지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문집에는 이 부분의 내용이 “여사술, 성산인(呂思述, 星山人)”이다.
권3의 6쪽 좌측 제8-10행은 전체 상감하여 매목하였는데, 현재 절반 하부는 남아 있지 않고 있다. 남아 있는 내용은 신석관(愼碩寬) 관련 내용인데, 먹이 묻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인출한 일은 없는 것으로 본다.
권3의 본래의 9쪽은 1940년 판각시에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늘려 9상과 9하로 추각하였다.
10쪽도 본래의 내용을 담은 판이 있고 수정 추각한 판이 따로 있다.
판각은 전체적으로 좌우 반전, 상하반전 방식이 혼재하고 있다.
책판은 전체적으로 마름모꼴로 재단되어 마구리에 평행으로 삽입 장착되어 있다.
목록(7,13) 등 습기로 얼룩이 있는 판이 10여장 있으며, 권1(33,34), 권2(51,52) 등 가로로 많이 파열된 판이 몇 장 있으며, 균열이 미세한 마모가 있는 판도 10여장 있으나 전체적으로 판면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凡 例 (1,2) 1
目 錄 (3,4)(5,6)(7,13)(8,12)(9,10)(11,12)(14,卷2-47) 7
附墓碣銘 0
附叙述 (11,12)(13,14) 2
附 管規錄 (21,22)(23,24) 2
卷 1 (3,4)(5,6)(7,8)(9,10)(10*보결판,31)(13,16)(14,15)(23,24)(25,26)(27,28)(33,34) 11
卷 2 (1,2)(3,4)(5,6)(7,8)(11,12)(13,14)(17,18)(19,20)(21,22)(27,28)(31,32)(33,卷3-9下)(34,卷3-9上)(35,36)(37,38)(39,40)(41,42)(43,44)(45,46)(48,刊行刊記)(51,52) 21
卷 3 (1,2)(5,6)(7,8)(9,10)(13,14)(15,16)(17,삭제판) 7
서지/해제 작성자 : 목판연구소 김종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