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안동권씨 대종회 > 학림선생문집

학림선생문집(鶴林先生文集)

조선 후기의 문신인 학림(鶴林) 권방(權訪 ; 1740~1808)의 시문집을 새긴 책판이다. 책판은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을 비롯하여 12권 6책 분량으로 278판이 남아 있다.
학림선생문집(鶴林先生文集)

1  /  278

  • 저자
    권방(權訪)(저)
    판심제
    鶴林先生文集
  • 기탁처
    안동권씨 대종회
    서문
  • 발문
    류치명(柳致明)(1844)
    판각시기
    1844년 이후
  • 완본수
    289
    현존수
    278
  • 결락수
    11
인물정보
• 권방[權訪, 영조 16년(1740)- 순조 8년(1808)]

영ㆍ정조(英ㆍ正祖)와 순조(純祖) 연간에 안동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계주(季周), 호는 학림(鶴林)이다.
아버지는 생원 권도(權濤)이며, 어머니는 의인(宜人) 예안김씨(禮安金氏)로 원열(元烈)의 딸이자 백암(栢巖) 김륵(金玏)의 5대손(代孫)이다..

◈젊은 나이에 유배를 경험하고 44세에 급제하다
선생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영특하여 주위 사람들로부터 기대를 많이 받았다.
영조 39년(1763)에는 향시(鄕試)를 거쳐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어느 날 문사(文事) 위주의 과거급제에만 열중하는 자신의 모습에 회의를 느껴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제자가 되었다. 28세인 영조 43년(1767)에 석채헌관(釋菜獻官)이 되었을 때 그를 질투하는 자들의 무고(誣告)로 하동(河東)으로 유배를 갔다가, 이듬해에 풀려났다.
선생은 11771년부터 세상에 대해 환멸을 느끼고 한동안 은거 생활을 하였으며, 44세인 정조 7년(1783)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정원부정자(承政院副正字)로 제수되었다.

◈퇴계를 본받아 학가산에서 심성 수양에 매진하다
이 무렵 이완(李埦), 류범휴(柳範休) 등과 함께 성균관에서 공부하며 경서(經書)를 강론하고 '문답록(問答錄)'을 남겼다. 이후 창릉령(昌陵令),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내고 병조좌랑(兵曹佐郞)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였다.
선생은 학가산(鶴駕山)에 기거하며 지낼 터를 마련하고 자연을 벗 삼아 학문과 덕행 수양에 전념하였다. 퇴계 이황이 도산(陶山)의 산수를 사모하며 인격 연마와 학문 수양에 전념한 것을 본보기로 삼은 것이다. 순조 7년(1807)에는 전라도사(全羅都事)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이듬해 69세로 세상을 떠났다. 학가산을 사모하여 그곳에 묻혔다.
자세히 보기
문집정보
구성 :
본문은 전체 12권으로 권1~3은 시(詩), 권4~8은 서(書), 권9는 잡저(雜著), 서(序), 기(記), 권10은 발(跋), 상량문(上樑文), 애사(哀詞), 축문(祝文), 권11은 제문(祭文), 묘갈명(墓碣銘), 행장(行狀) 등이 실려 있고, 권12는 부록으로 행장(行狀), 묘갈명(墓碣銘), 만사(輓詞), 제문(祭文), 발문(跋文)이 있다. 발문(跋文)은 헌종 10년(1844) 류치명이 지었다.

◈서애 류성룡을 배향한 병산서원의 사액을 청한 상소를 올리다
선생의 문집은 영남 사대부 문집들 중에서도 특히나 연작시가 많이 수록되어 있다. 시(詩) 중에는 자연풍경의 묘사와 낭만적 풍류를 노래한 작품이 많다. 그 외 퇴계 이황에 대한 존경,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에 대한 논의, 천리유행(天理流行)에 대한 깨달음 등을 담은 시들도 있다.
그 외 주요 작품들 중 「병산서원청액소(屛山書院請額疏)」는 영남유림을 대표하여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을 모신 병산서원에 사액을 내려 줄 것을 청한 상소이며,「응지구언소(應旨求言疏)」에서는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민폐를 혁파함으로써 백성을 위한 정치가 구현되어야 한다는 것을 역설했다. 권4에 수록된 「여권완백(與權完伯)」은 호남감사로 부임하는 권엄(權儼, 1729~1801)에게 일곱 조목에 걸쳐 지방 목민관으로써 필요한 점을 지적하고, 여러 가지 폐단을 혁파할 것을 당부하는 내용이다.
간역 :
『학림선생문집』은 문인 권규도(權奎度, 1782∼1852)가 유문(遺文)을 수집, 일차적으로 정리하여 12권 6책으로 간행하였다. 이후 당시의 정치적 상황 때문에 본집(本集)에서 빠진 내용을 추가로 넣어 2권의 속집(續集)을 간행하였다
자세히 보기
목판정보
결락정보 :
책판은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을 비롯하여 12권 6책 분량으로 278판이 남아 있다.
결락된 책판은 목록의 제12장, 권1의 제23장, 권2의 제21/22장, 제37/38장, 권3의 제1/2장, 권4 제13/14장, 권5의 제13/14장, 권7의 제1/2장, 권9의 제3/4장, 권10의 제5/6장, 권11의 제20장으로 11판이다.
형태적특징 :
책판의 보존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며, 사주쌍변(四周雙邊)의 광곽(匡郭) 안에 해서(楷書)로 문집의 목록과 본문 등을 새긴 278판이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 본문의 판각 양식은 10행(行) 20자(字)로 계선(界線)을 판각하고, 아래위 백구(白口)에 판심의 어미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로 균일하다.
판수(板首)의 제목은 ‘鶴林先生文集’이고, 판심의 제목도 동일하다.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1.0×52.0cm 내외로 비교적 일정한 편이고, 반곽(半郭)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1.0×17.0cm로 거의 일정하다. 판목의 두께 또한 2-3cm 내외로 비교적 일정하다. 책판의 무게는 대부분 2.0kg 내외이며, 가벼운 판은 1.3kg에서 무거운 판은 3.0kg이 넘어서 비교적 차이가 나는 것도 있다.

책판의 좌우에는 모두 마구리가 부착되어 있다. 판의 전반적인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다만, 목록의 제21장, 권4 제11장의 글자가 일부 훼손되어 있으며, 권6의 제33-34장은 판면의 상단이 훼손되었고, 권7의 제33장은 목판의 일부가 떨어져 나갔다. 권9의 제38장은 판면의 마모가 매우 심하며, 목록의 제25/26장은 마구리 중 하나가 훼손되었다.

책판 제작 시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의 결합 형태는 나무못을 가운데에 한 개 또는 두 개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판면이 마구리에 고정되는 부분은 마구리의 좌우측 끝까지 관통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마구리의 형태는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크기도 비교적 균정한 편이며, 본문보다 5cm 정도 크게 제작되어, 본문을 새긴 판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마구리의 바깥쪽에는 문집명과 책판의 권차(卷次), 장차(張次) 및 판을 새긴 각수(刻手)의 이름을 묵서(墨書)해 두어 판각 작업의 인력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확인 가능한 묵서기록을 살펴보면, 각수로 참여한 인원은 권만복(權晩福), 권용(權龍), 권하일(權夏一), 김국원(金國元), 김근옥(金根玉), 김석귀(金石龜), 김석용(金錫龍), 김성대(金成大), 김악윤(金岳允), 김양진(金洋振), 김억(金億), 김원대(金元大), 최일록(崔日祿), 최하일(崔夏一), 홍계윤(洪啓允) 등 40여명 정도가 파악되며, 가장 많이 판각한 각수는 박인숙(朴仁淑)으로 전체 18판을 판각하였다. 기타 권만복, 권용, 권하일 등 15여명의 각수는 10판에서 13판 정도를 판각한 것이 확인되었다. 확인 불가한 결락판이 있어, 각수들은 더 많은 판을 판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적게 새긴 각수는 5판 이하만 새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책판을 제작한 나무는 고로쇠나무이다.
특이사항 :
전존판(傳存板) 중 단면(單面)만 판각하여 한 면은 공판(空板)인 것이 비교적 많은데, 서(序)의 제3장, 목록의 제1장, 제2장, 제3장, 제5장, 제6장, 제8장, 제9장, 제10장, 제11장, 권2의 제7장, 제8장, 제21장, 권3의 제30장, 제37장, 권4의 제14장, 제25장, 제26장이 그러한 예이다. 짧은 기간에 많은 각수가 작업하였음을 알 수 있다.

각수의 이름을 묵서해두는 이유는 판각비용을 지불하기 위해서다. 이 판각본은 동일한 각수의 이름이 다양하게 표기 되었다. 김성대(金成大 / 成大), 김팔경(金八景 / 金八敬), 손준덕(孫俊德 / 孫俊得), 유응수(劉應守 / 劉應洙), 이억(李億 / 李億伊), 정만복(鄭晩福 / 鄭萬福), 최순봉(崔舜鳳 / 崔順鳳) 등이 그러한 사례이다. 이는 판각 관리자가 각수의 이름을 소리 나는 대로 임의로 기록했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 당시 각수의 신분이 일천해 한자 이름을 제대로 갖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한 판의 전 후면이 내용면에서 연속되지 않는 판들이 있는데, 목록의 제4장과 권10의 제33장, 목록의 제33장과 권11의 제29장, 권3의 제27장과 권11의 제29장, 목록 제33장과 권11의 제29장이 한 판에 새겨져 있다. 또한 특이하게도 목록의 제2장은 한 장에 권하일, 심득복(沈得福) 2명의 각수가 판각하였다.
권10의 제32장을 새긴 최순(崔順)이라는 각수는 제32장의 후면 공판(空板)에 선산(善山) 산외면(山外面)에 거주한다는 기록까지 묵서해 두었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目錄 (1,空)(2,空)(3,空)(4,卷10-33)(5,6)(7,8)(9,10)(11,空))(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空)(32,空)(33,卷11-29)(34,空),(35,36) 22
卷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4,空)(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 23
卷2 (1,2)(3,4)(5,6)(7,空)(8,空)(9,10)(11,12)(13,14)(15,16)(17,18)(19,20)(23,24)(25,26)(27,28)(29,30)(31,32)(33,34)(35,36)(39,40)(41,42) 20
卷3 (3,4)(5,6)(7,8)(9,10)(11,12)(13,14)(15,16)(17,18)(19,空)(20,空)(21,22)(23,24)(25,26)(27,卷4-28)(29,30)(31,32)(33,34)(35,36)(37,空) 19
卷4 (1,2)(3,4)(5,6)(7,8)(9,10)(11,12)(15,16)(17,18)(19,20)(21,22)(23,24)(25,26)(27,卷3-28)(29,30)(31,32)(33,空)(34,空)(35,空)(36,空)(37,38)(39,40)(41,空) 22
卷5 (1,2)(3,4)(5,6)(7,空)(8,空)(9,10)(11,空)(12,空)(15,16)(17,18)(19,20)(21,空)(22,空)(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 21
卷6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 20
卷7 (3,空)(4,空)(5,6)(7,8)(9,10)(11,12)(13,14)(15,16)(17,空)(18,空)(19,20)(21,22)(23,空)(24,空)(25,26)(27,28)(29,30)(31,32)(33,34)(35,36) 20
卷8 (1,2)(3,4)(5,6)(7,8)(9,10)(11,空)(12,空)(13,14)(15,16)(17,18)(19,20)(21,22)(23,空) 13
卷9 (1,2)(5,6)(7,8)(9,10)(11,空)(12,空)(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空)(34,空)(35,36)(37,38)(39,空)(40,空)(41,空)(42,空)(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空)(70,空)(71,72)(73,74)(75,空) 41
卷10 (1,2)(3,4)(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空)(26,空)(27,28)(29,30)(31,空)(32,空) 17
卷1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空)(21,空)(22,空)(23,24)(25,空)(26,空)(27,28)(30,空)(31,32)(33,空)(34,空)(35,36)(37,38)(39,40)(41,空)(42,空)(43,44)(45,46)(47,空)(48,空)(49,50) 30
附錄 (1,2)(3,4)(5,6)(7,8)(9,10)(11,12)(13,14)(15,16)(17,18) 9
(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