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야성정씨 참판공종택(괴음당) > 충열록

충열록(忠烈錄)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전라도 김제군 웅치(熊峙) 전투에서 전사한 정담(鄭湛, 1548 -1592)의 사적을 모아 정리한 전적으로, 42판이 완질을 갖추어 남아 있다.
충열록(忠烈錄)

1  /  42

  • 저자
    정덕선(鄭德善)(저)
    판심제
    忠烈錄
  • 기탁처
    야성정씨 참판공종택(괴음당)
    서문
    韓致應, 新刊序: 姜必孝(1846)
  • 발문
    판각시기
    1869년
  • 완본수
    42
    현존수
    42
  • 결락수
    0
인물정보
정담(鄭湛) [명종 3년(1548) - 선조 25년(1592)]

정담(鄭湛)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영덕(盈德)이며, 자는 언결(彦潔)이다. 아버지는 정창국(鄭昌國)이다.

선조 16년(1583)에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회령(會寧) 지방에서 여진족인 이탕개(尼湯介) 가 일으킨 난의 진압에 공을 세우고, 여러 벼슬을 거쳐 선조 25년(1592)에 김제군수(金堤郡守)가 되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그는 의병을 모아 권율(權慄)의 지휘 하에 나주판관(羅州判官) 이복남(李福男), 의병장 황박(黃樸), 해남현감(海南縣監) 변응정(邊應井) 등과 함께 전라도 김제(金堤)의 웅치(熊峙, 곰티재)를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 때 금산을 거쳐 전주를 점령하려는 일본군에 대항하여 7월 7-8일 양일간에 걸쳐 웅치에서 전투를 벌이며 끝까지 방어하면서 모두 전사하였다. 당시 일본군마저도 ‘조조선국충의간담(弔朝鮮國忠義肝膽)’ 이라는 묘비를 세워 그의 충절에 경의를 표하였다고 한다.

숙종 16년(1690)에 정문(旌門)이 세워졌고, 이후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추증(追贈)되었으며, 영해(寧海) 충렬사(忠烈祠)에 제향되었다.
문집정보
구성 :
권두에는 한치응(韓致應)이 쓴 「충렬록서(忠烈錄序)」와 헌종 12년(1846)에 강필효(姜必孝)가 쓴 「신간충렬록서(新刊忠烈錄序)」가 있다.

책의 구성을 살펴보면, 시(詩), 서(書), 유사(遺事), 행장(行狀), 전(傳), 묘지명(墓誌銘), 제문(祭文), 만사(輓詞)가 앞에 수록되어 있다.

이어 사략잡기(史略雜記)에는 「선조보감(宣朝寶鑑)」, 「전주읍지(全州邑誌)」, 「웅치기사(熊峙記事)」, 「서애류문충공징비록략(西厓柳文忠公懲毖錄略)」이 있으며, 주로 정담이 세운 웅치 전투에서의 전공과 전적지가 수록된 문헌에서 뽑아 모은 것이다.

기발(記跋)에는 「정려음기(旌閭陰記)」, 「정각이건기(旌閣移建記)」, 「충렬록발(忠烈錄跋)」, 「충렬록소지(忠烈錄小識)」, 「제충렬록후(題忠烈錄後)」, 「서충렬록후(書忠烈錄後)」, 「추서충렬록후(追叙忠烈錄後)」가 있으며, 상량문(上梁文)에는 「정각상량문(旌閣上梁文)」이 수록되었다.

소계수록(疏啓隨錄)에는 「김제유생청립묘소략(金堤儒生請立廟疏略)」, 「청녹훈선무원종록소(請錄勳宣武原從錄疏)」, 「충훈부회답(忠勳府回答)」, 「의정부청포장충계(議政府請褒獎忠啓)」, 「고부유생청포증전(古阜儒生請褒贈箋)」, 「김제유생정검찰사김찬문(金堤儒生呈檢察使金鑽文)」, 「충청도각읍유생통문(忠淸道各邑儒生通文)」의 내용들이 있다.

이는 대부분 임진왜란 때 정담이 혁혁한 전공을 세웠음에도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錄勳)되지 못한 것에 대해 김제의 여러 유생과 자손들이 추록훈(追錄勳)을 바라는 내용이다.

청시사략(請諡史略)에는 「을사상언(乙巳上言)」, 「예조계후비답(禮曹啓後批答)」, 「원춘영관(原春營關)」, 「사관보장(査官報狀)」, 「원춘감사장계(原春監司狀啓)」, 「동년구월상언(同年九月上言)」, 「무인상언(戊寅上言)」, 「봉안문(奉安文)」, 「충렬사상량문(忠烈祠上梁文)」, 「명교당상량문(明敎堂上梁文)」, 「강당중수기(講堂重修記)」, 「정려비문(旌閭碑文)」, 「가장(家狀)」이 수록되었다.
간역 :
『충렬록(忠烈錄)』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당시 전라도 김제(金堤) 웅치(熊峙) 전투에서 전사한 정담(鄭湛)을 기리기 위하여 후손 정형규(鄭亨逵)가 자료를 수집ㆍ편찬하여 고종 6년(1869)에 간행하였다.
목판정보
결락정보 :
책판은 서문(序文)이나 발문(跋文)이 없으며, 본문 84장 분량의 책판 42판이 결락 없이 완질을 갖추어 남아 있다.
형태적특징 :
『충렬록(忠烈錄)』은 임진왜란 때 무공을 세운 정담(鄭湛)을 기리기 위하여 후손 정형규(鄭亨逵)가 주도하여 재원을 마련하고, 고종 6년(1869)에 간역을 마무리 지었다. 『충렬록』을 새긴 책판 42판이 완질을 갖추어 남아 있으며, 일부 판에서는 크고 작은 하자가 발생하기도 했지만, 전체적인 상태는 비교적 온전하게 보존된 편이다.

책판의 기본적인 체제와 형식을 살펴보면, 본문을 새긴 판의 양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의 광곽(匡郭) 안에 계선(界線)을 새겼고, 글자 배치는 11행 20자의 해서체(楷書體)로 일정하게 판각하였다. 또한 판심의 어미(魚尾)는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로 되어 있다. 판심의 제목은 ‘충렬록(忠烈錄)’으로 새겼다.

마구리를 제외한 판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1-22cm×50-51cm 내외로 전체적으로 비교적 고른 편이다. 반곽(半郭)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0cm×17cm 내외로 거의 일정하다.

판목의 두께는 주로 3cm 내외이나, 2cm-4cm로 편차가 보이고 있다. 책판의 무게 또한 주로 2kg 내외이다.

각 책판별 마구리의 바깥 부분에는 묵서(墨書)로 ‘충렬록(忠烈錄) 권지이(卷之二) 오십일장(五十一丈)’과 같이 서명(書名)과 권차(卷次), 장차(張次)의 순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 밖에 각수의 이름은 적혀 있지 않다.

대부분의 판이 판면 중 계선의 모양이 비교적 또렷하게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다소 마모가 덜 된 것으로 보이며, 각 판면의 문자 또한 판각할 때 글자를 깊숙하게 새김으로써 외관상 글자가 대체로 뚜렷한 것이 특징이다.

마구리와 판면의 결합 방법은 마구리의 좌우측 결합 부분이 마름모꼴로 하여 마구리에 끼워 넣었다. 마구리의 형태는 판면보다 아래위로 3-4cm 크게 제작되었으며, 높이와 형태가 일정한 정사각형 형태이다.

마구리와 본문을 새긴 판면의 결합 방식은 본문을 새긴 판면이 마구리의 좌우측 절반까지 파내어 끼워 넣은 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는데, 본문판과 마구리의 고정 방식은 좌우측 마구리의 가운데 부분에 두 개의 쇠못을 박아 고정하였다.

본문을 새긴 판면과 마구리의 결합 형태에 대한 특징으로 전존하는 판 모두가 판면을 직사각형으로 재단하여, 마구리의 좌우측 결합 부분이 마름모꼴로 제작되었다.

그 밖에 전존 책판은 양면 판각을 원칙으로 새겨졌던 것으로 보이고, 단면 판각된 경우는 한 판도 없다.
특이사항 :
전체적으로 책판의 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일부 책판의 경우 마구리나 판면이 갈라진 판도 있다. 특기할 점은 각 마구리의 밑면에 붓으로 둥글게 검은 점을 표시하였는데, 이렇게 한 이유는 책판을 새긴 뒤 그 수를 헤아리기 위해서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 4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 4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 4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 4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 4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 4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 4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 4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 42
서지/해제 작성자 : 임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