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ENGLISH알림마당
Home> 목판아카이브> 고성이씨 법흥문중 > 고자세헌

고자세헌(古自世獻)

『고자세헌(古自世獻)』은 고성이씨(固城李氏) 6人의 유고집이다.
고자세헌(古自世獻)

1  /  136

  • 저자
    이유정(李幼禎)(저)
    판심제
    古自世獻
  • 기탁처
    고성이씨 법흥문중
    서문
  • 발문
    李鍾泰
    판각시기
    1891년
  • 완본수
    136
    현존수
    136
  • 결락수
    4
인물정보
이진(李瑨, 생몰년미상)은 자가 국보(國寶), 호가 문산(文山)이다. 고려 고종(高宗) 때 문과에 급제하고 승문원학사가 되었다. 원종(元宗) 즉위 후에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제수 했으나 사양하고 문소산(文召山)에 들어가 은거했다. 사후에 왕명으로 예장(禮葬)하였고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이후영(李後榮, 1647-1711)은 자가 사구(士久), 호가 청옹(淸翁)이다. 조선 현종 때 진사에 합격하고 문과에 급제하여 정랑(正郞)을 지냈으며, 학문과 덕행으로 사림의 존경을 받았다.

이원기(李元紀, 1689-1762)는 자가 이망(爾綱), 호가 행부(杏阜)이다. 이후영의 손(孫)으로 천성이 자유로와서 학문을 즐기면서 지냈고, 글씨에 뛰어났다.

이상경(李尙慶, 1721-1786)은 자 가 군보(君輔), 호가 와설(臥雪)이다. 이원기(李元紀)의 아들로 경사(經史)를 깊이 연구하여 이 분야의 학식이 해박하였다.

이홍저(李弘著, 1730-1791)는 자가 덕현(德顯), 호가 동호(桐湖), 수락당(隨樂堂)이었다. 1762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폐출 소식에 학문을 접고 족내의 이홍적(李弘績), 이종악(李宗岳)과 더불어 산천을 벗삼아 지내었다.

이종유(李宗儒, 1749-1811)는 자가 유진(幼珍), 호가 제암(霽庵)이다. 이후영의 현손(玄孫)으로 정조 때 진사에 합격하고 관유(館儒)로 입시경연(入侍經筵)하여 칭찬을 받고 『오경백선(五經百選)』에 대한 교진(校進)의 명을 받았다.
문집정보
구성 :
『고자세헌(古自世獻)』은 6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먼저 고성이씨의 세계도(世系圖)를 수록한 후, 제1권 「문산세고(文山逸稿)」는 이진(李瑨)의 일고(逸稿)이다. 제2권 「청옹유집(淸翁遺集)」은 이후영(李後榮)의 유집(遺集)이다. 제3권 「행부일고(杏阜逸稿)」는 이원기(李元紀)의 일고(逸稿)이다. 제4권 「와설일고(臥雪逸稿)」는 이상경(李尙慶)의 일고(逸稿)이다. 제5권 「동호유고(桐湖遺稿)」는 이홍저(李弘著)의 유고(遺稿)이다. 제6권 「제암유집(霽庵遺集)」은 이종유(李宗儒)의 유집(遺集)이다. 권말에 「유사(遺事)」라는 제하에 후손 이종태(李鍾泰)가 선조와 관련된 일화, 언행 등을 인용하여 소개하고 있다.
간역 :
『고자세헌』은 문중의 주요한 문헌 및 선조와 관련 있는 내용을 소개하고, 가문의 내력을 후손에게 알리기 위해 만든 책이다. 권6의 말에 있는 후손 이종태의 발문으로 보아 이 유고는 이주생(李周生)이 편집하고 이종태가 1891년에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자고(古自)’란 고성(固城)의 옛 이름으로 나타나는데 ‘성(城)’의 우리말이 ‘잣’이므로 『고자세헌』이라고 명명된 듯하다.
목판정보
보관과정 :
이 목판은 안동 고성이씨 법흥문중 팔회당종택에서 보관 관리해 오다가 2002년에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하여 보관 중이다.
결락정보 :
전체 136장이 남아 있고, 권2(25) 1장이 결락이다. 결락 사유나 결락된 판의 소재는 확인되지 않는다.
남아 있는 판의 경우 마구리도 모두 갖추어져 있는데, 보수한 판을 제외한 나머지는 원래대로 남아 있다.
특이사항 :
주는 「세계도」에서 쌍행으로 되어 있는 것을 제외한 본문에서는 작은 글자 단행으로 처리되어 있으며, 백광을 사용하고 있다.
판각은 상하반전과 좌우반전이 혼재되어 있다.
판면 좌우는 전체적으로 마름모꼴로 재단되어 마구리에 관통형으로 장착되어 있다.
대부분의 판이 습기로 얼룩이 남아 있으며, 권3(23,24) 등 가로로 좌우 모두 균열이 많이 된 판이 몇 장 있고, 권2(25,26), (37,38), 권3(35,36) 등 측면 균열이 있는 판도 여러 장 있으며, 미세한 균열이 있는 판이 다수 있다. 권5(27,28), (31,32), (35,36) 등 충해를 입은 판도 여러 장 있다. 그러나 판면의 훼손이 있는 판은 없다.
마구리도 권3(33,34) 등 충해를 입은 것들과 권2(31,31) 등 균열이 있는 것들을 제외하면 비교적 상태가 양호하다.
책판정보
구분 내용 수량
卷1: 世系圖 (1,2)(3,4)(5,卷6-46)(6,卷1-25) 4
卷 1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6,37)(27,36)(28,29)(30,31)(32,33)(34,35)(38,39)(40,卷6-49) 20
卷 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7,38)(39,40)(41,42)(43,44) 21
卷 3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空)(44,45)(46,47)(48,49) 25
卷 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 18
卷 5 (1,2)(3,4)(5,6)(7,8)(9,10)(11,12)(13,15)(14,25)(16,17)(18,19)(20,21)(22,26)(23,24)(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卷4-37) 23
卷 6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空)(47,48)(50,51) 25